낙동강유역환경청이 본격적인 여름철 홍수기 대비를 위해 지역 맞춤형 홍수 대응체계 구축에 나섰다./ 낙동강유역환경청 제공
낙동강유역환경청이 본격적인 여름철 홍수기 대비를 위해 지역 맞춤형 홍수 대응체계 구축에 나섰다./ 낙동강유역환경청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낙동강유역환경청(낙동강청)이 본격적인 여름철 홍수기 대비를 위해 지역 맞춤형 홍수 대응체계 구축에 나섰다.

낙동강청은 지난 18일 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 일원에서 ‘홍수취약지구 지역협의체’ 회의를 개최, 국가하천 위천 구간 내 홍수 취약 구역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낙동강청에 따르면 이날 회의는 낙동강청을 비롯해 군위군청, 삼국유사면, 한국수자원공사, 지역주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주요 안건으로는 △교량 공사로 인한 유수 지장 해소방안 △홍수 위험 단계별 정보제공 체계 구축 △비상연락망 운영 및 주민대피계획 수립 △행동요령 홍보 등이 다뤄졌다.

회의 대상 지역은 농경지 인근 하천 범람 우려가 큰 구간으로, 최근 교량 설치 공사와 맞물려 유수소통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홍수 시 저지대 침수가 우려되는 곳이다.

특히 올해부터 위천은 기존 지방하천에서 국가하천으로 승격됨에 따라 하천정비계획 수립부터 홍수 대응, 유지관리 예산 운용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관리가 강화된다. 이에 따라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홍수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서흥원 청장은 “홍수는 피해 발생 이전에 대비하고 예방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고 중요하다”며 “홍수 위험 징후 확인 시 관계기관 및 마을 주민들에게 신속히 전파하여 피해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 주민분들께서도 비상 상황에서는 신속한 대피 등 안전조치 해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