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한국산업단지공단(산단공)이 9일 대구국가산업단지 내 엘앤에프 구지3공장에서 ‘산업단지 ESG+ 협의체’ 2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ESG경영 우수기업, 전문가, 유관기관 등에서 12명이 참석해 현장 중심의 탄소중립 전환 전략과 실행 과제를 집중 논의했다.
산단공은 이번 회의가 지난 4월 열린 ESG+ 협의체 출범식에서 제안된 아젠다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구체화하고 ‘산업단지형 ESG 지원사업’의 본격 추진 계획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주제는 ‘수소 등 친환경 재생에너지 공급·확산을 통한 탄소중립 산업단지 구축’으로 △엘앤에프 ESG 경영 발표 △전문가 주제 발표 △참석자 간 아젠다 협의가 이어졌다.
특히, 이차전지 양극재 글로벌 선도기업인 엘앤에프가 자사의 ESG 경영 비전과 실천 사례를 발표하고 구지3공장 투어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했다.
엘앤에프는 2022년 ‘폐기물 매립 제로(ZWTL)’ 국제 인증 최고등급인 ‘플래티넘’ 획득, 국내 ESG 평가기관 서스틴베스트의 2024년 ESG 평가 A등급 획득 등 대외적으로 ESG 우수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회의에서는 유지용 산단공 ESG지원팀장이 “친환경 집단에너지 공급과 연계산업 활성화를 위한 ‘탄소중립 전환 선도 산업단지 구축 프로젝트안’”을 설명했다.
윤재준 두산에너빌리티 수석은 ‘바이오가스 수소화 사업’, 권휘웅 순천향대 교수는 관련 정책 방향을 제안하며 논의의 폭을 넓혔다.
산단공은 ESG+ 협의체 운영과 함께 이달부터 ‘2025년 산업단지 ESG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 중이다. 해당 사업은 △ESG 경영 기초 컨설팅 △EU 공급망 실사 규제 대응 △대기업 협력사 경쟁력 강화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된다.
참여기업엔 진단보고서 제공, 전문가 교육 및 자격 취득 지원, ISO 인증과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을 위한 심화 컨설팅 등이 패키지로 제공된다.
이상훈 이사장은 “세계 기후 위기와 무역 장벽 강화 등으로 고탄소 배출 업종이 집중된 산업단지의 효율적인 탄소중립 정책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앞으로도 산업단지 ESG+ 협의체를 통해 정책 아젠다와 ESG 지원사업을 발전시키며 탄소중립 전환 선도 산업단지 구축에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산단공은 올 하반기부터 산단 내 온실가스 감축 성과 창출을 위한 ‘기후기술 연계 실증모델’도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 G밸리 창업허브로 다시 뛴다...‘2025 G밸리 창업경진대회’ 개막
- 정부, 탄소감축 시설·R&D 투자 14개 기업에 최대 357억원 지원
- ‘탄소중립선도협의체’, 제2차 정기회의 개최...융자사업 리스크 대응 집중
- SKT, 울산에 초대형 AI 데이터센터 건설
- 삼보오토, AI 기반 검사 공정 자동화로 제조혁신...‘산단 AX 카라반’ 첫 현장 방문
- 철강의 미래, 수소와 디지털에서 찾는다…산업입지포럼 개최
- 산단 입주기업 ESG 전환 본격화…산업단지공단-생산성본부 맞손
- “공장이 태양광 플랫폼 된다”...경기북부 첫 ‘공공주도 산단 태양광 협의회’ 출범
- 산업단지, 글로벌 기술협업 전진기지로...산단公, ‘KICXUP’ 2024 성과보고회
- [초점] “똑같이 열 팔지만 세금은 ↑”...민간 집단에너지업계, 조세 형평성 개선 촉구
- 이상훈 산단公 이사장, 집중호우 현장 안전점검
- 산단公, 울산국가산단 집중호우 대비 현장 안전점검
- ‘KICEF 2025’로 세계시장 두드린다...100여개 해외 바이어 방한
- “집단에너지 생존 해법, 기후대응·AI 전환에 있다”
- ‘열요금 하한제’ 내년부터 적용...중소 집단에너지사 “생존 위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