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정부가 탄소중립 실현을 앞당기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 시설과 연구개발(R&D)에 나서는 14개 기업에 내년까지 1.3%의 저금리로 최대 357억원의 융자금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도 탄소중립전환 선도프로젝트 융자지원사업’의 신규 대상 기업 14곳을 최종 선정하고 2027년까지 총 1521억원의 융자를 집행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자금 지원을 통해 총 3930억원 규모의 신규 민간 투자가 유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탄소중립전환 선도프로젝트 융자지원사업은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전담기관으로, 산업계의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혁신 기술과 설비 구축에 장기·저리의 융자 자금을 제공하는 정책금융 프로그램이다.
올해 공모는 지난 3월부터 진행돼 중소기업 10곳, 중견기업 1곳, 대기업 3곳이 최종 선정됐다. 이달부터 14개 시중은행을 통해 대출이 본격 실행될 예정이다. 선정된 기업들은 최대 357억원까지 연 1.3%의 금리로 자금을 지원받는다.
융자 조건은 기업 규모에 따라 차등 적용된다. 중소기업은 프로젝트 총투자금액의 100%까지, 중견기업은 90%, 대기업은 50% 이내에서 융자가 가능하다.
융자한도는 시설자금 최대 500억원, R&D자금 100억원 등 프로젝트당 최대 500억원이며 대출 기간은 3년 거치 후 7년간 원금균등분할상환으로 최대 10년까지 설정된다.
이번에 선정된 기업들은 국내외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도 시멘트, 반도체 등 주력 산업 분야는 물론 수소와 CCUS(탄소포집·활용·저장) 등 신에너지 부문에서도 총 3930억원 규모의 과감한 투자를 예고했다.
정부는 이번 융자 지원을 통해 산업계의 탄소중립 이행을 견인하고 관련 생태계 전반의 전환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2022년부터 올해까지 총 84건의 프로젝트에 6540억원이 지원됐으며, 이로 인해 민간에서 약 2조7000억원의 탄소중립 투자가 이뤄졌다. 또 연간 1074만톤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제2의 IMF와 같은 어려운 시기지만 기업의 탄소중립 투자는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핵심요소”라며 “정부도 산업의 그린전환을 위해 융자뿐 아니라 R&D, 인프라 구축 등 전방위적으로 지원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분석]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1) - 지속적인 성장세, 전고체 배터리 기대 커져
- [분석]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2) - 각국의 정책에 따라 빠르게 변화
- [분석]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3) - 한국과 해외 기업의 경쟁력 비교
- Adani, 재생에너지 15.5GW 달성…인도 최대 운영 용량 기록
- TES·CPC 핀란드, 500MW e-NG 프로젝트로 EU 수소시장 선도
- 독일, 석탄 의존 탈피 위해 수소 보조금 대규모 집행
- 중국, 세계 첫 수소-전기 예인선 운항…해양 탄소중립 선도
- G밸리 창업허브로 다시 뛴다...‘2025 G밸리 창업경진대회’ 개막
- 산단 ESG+ 협의체 2차 회의 개최...“산업단지 탄소중립, 선택 아닌 필수”
- “공장이 태양광 플랫폼 된다”...경기북부 첫 ‘공공주도 산단 태양광 협의회’ 출범
- 산업단지, 글로벌 기술협업 전진기지로...산단公, ‘KICXUP’ 2024 성과보고회
- 이상훈 산단公 이사장, 집중호우 현장 안전점검
- 산단公, 탄소감축 선도기업에 1000억 저리융자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