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LNG 생산여력 확장은 유럽·아시아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력 강화와 공급망 안정성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의 LNG 생산여력 확장은 유럽·아시아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력 강화와 공급망 안정성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최근 일부 언론 보도를 통해 제기된 한국의 미국산 LNG 수입량 ‘최대 2배 확대’ 추진설에 대해, 관련 부처와 에너지업계에서는 “아직은 실무자 검토 단계에 불과하다”는 입장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 차원의 공식 방침도 확정되지 않았으며, 이번 수입 확대 논의는 사실상 ‘對美 통상압박 대응 수단’ 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 통상 협상 앞둔 전략적 검토…“수입 확대, 협상용 시그널일 수도”

이번 논의는 오는 8월 1일로 예정된 미국과의 통상 협상 데드라인을 앞두고 미국 측이 제기한 다양한 요구 중 하나로 해석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재차 통상 압박 메시지를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은 한국에 대해 LNG 수입 확대 외에도 농산물 시장 개방, 방위비 분담금 확대, 제조업 투자 확대 등 다양한 압박 카드를 꺼내 들고 있다.

산업부 고위 관계자는 “미국은 LNG를 포함한 에너지 분야에서 한국의 수입 확대를 희망하고 있지만, 한국 정부가 이를 받아들일지 여부는 아직 검토 중”이라며 “단기적 무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전략적 고려일 뿐, 이를 공식 정부 방침으로 간주하긴 어렵다”는 입장을 내놨다.

■ 계약은 ‘연말 목표’지만, 물량도 방식도 아직 ‘불확실’

한국가스공사는 지난 4월 말 이사회에서 미국산 LNG 도입 확대에 대해 내부적으로 협상 추진을 논의한 바 있다. 연말 계약 체결을 목표로 실무 협상을 진행 중이지만, 연간 도입 물량은 유동적이다.

에너지업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 트렌드는 대형 단일계약보다 다변화·유연성을 중시하는 소량 다계약”이라며 “이번에도 ‘중기 단가 연계형’ 계약 가능성이 크며, 최종 확정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가스공사가 수입한 LNG 3608만 톤 중 미국산 비중은 10.7%(386만 톤)에 불과하다. 이번에 200만 톤 이상 추가될 경우 미국산 비중은 최대 20%에 육박하게 된다.

■ 정책 압박 속의 균형점 찾기…“공급 안정성이 우선”

업계는 이번 협상이 정부의 공급망 다변화 전략과도 일정 부분 연결되어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국가 에너지 안보와 가격 경쟁력 유지가 최우선 고려사항이라고 본다.  에너지 정책의 핵심인 가격 안정성과 공급 안정성, 계약 유연성이 충족되지 않으면 확대 도입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