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기후변화와 대기오염, 이 두 가지 위기를 동시에 다룰 해법을 모색하기 위한 국제 논의의 장이 국내에서 열렸다.
환경부 소속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는 제6회 ‘푸른 하늘의 날(9월7일)’을 앞둔 4일 고양 킨텍스에서 ‘2025 대기오염물질 배출정보관리 국제학술대회(심포지엄)’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대기오염 통합관리’를 주제로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와 유엔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ESCAP) 동북아사무소가 공동 주최했다.
심포지엄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몽골, 인도네시아, 태국 등 아시아 주요 국가와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 대기 전문가, 국제기구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심도 깊은 논의를 펼쳤다.
전체 행사는 총 3부로 구성됐다. 1부에서는 과학적 연구성과를 통해 기후와 대기오염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2부에서는 각국이 추진 중인 기후 대응 정책과 대기 관리 사례를 공유했다. 3부에서는 실질적인 기술 적용 방안과 국제협력 모델이 집중 논의됐다.
이번 행사는 단순한 정보 공유를 넘어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을 하나의 ‘통합관리시스템’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인식을 국제사회에 확산시키는 계기가 됐다.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는 2023년부터 UNESCAP 동북아사무소와 함께 본 행사를 공동 개최하고 있으며, 2024년 3월에는 ‘동북아 청정대기 파트너십(NEACAP)’의 기술센터(TC)로 지정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중국과 함께 NEACAP의 기술적 자문을 담당하는 핵심기관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한편, 세계기상기구(WMO)는 지난해 9월 발간한 ‘대기질·기후 보고서 제4호’를 통해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은 분리할 수 없는 문제이며, 서로 악순환을 일으킨다”고 경고했다.
특히 폭염·폭우·산불과 같은 기후재해가 대기 정체와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대기질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오흔진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장은 “이번 국제학술대회는 과학적 근거, 정책적 해법, 국제적 협력이라는 세 축을 바탕으로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이라는 쌍둥이 위기에 대응할 구체적 전략을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이라며 “이날 논의된 내용들이 각국의 정책으로 이어져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국제학술대회는 단발성 행사를 넘어, 동북아를 포함한 국제사회의 기후·대기 공동 대응을 실현하기 위한 초석으로 기능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