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에너지 범위도/한국에너지공단 제공
분산에너지 범위도/한국에너지공단 제공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미래 지역에너지 생태계 활성화 사업’을 통해 통합발전소(VPP), 수요반응사업(DR), 저장전기판매사업 등 분산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지원한다고 5일 밝혔다. 국내에서는 아직 도입 초기 단계인 분산에너지 기술 상용화를 위해 총 145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분산자원 활용 플랫폼 구축, 전력계통 유연성 확대, 분산에너지 생산설비 관련 사업 등 세 가지 분야에서 지원이 이뤄진다. 중소·중견·대기업, 비영리법인, 협동조합, 공기업 등이 지자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할 수 있다.

특히 ICT 기술을 활용한 통합발전소(VPP) 구축이 주요 지원 대상이다. VPP는 개별 분산자원을 하나의 발전소처럼 통합 운영하여 발전량 예측·설비 최적화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을 보완하는 'Sector Coupling' 기술을 활용해 에너지를 변환·저장하여 전력 계통의 안정성을 높이는 방안도 포함됐다.

산업부는 내년부터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통해 해당 지역 내 분산에너지 시스템을 활성화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과 관련한 설명회는 오는 2월10일 오후2시 서울 SETEC 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사업 신청은 2월24일~3월10일까지 접수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산업통상자원부(www.motie.go.kr)와 한국에너지공단(www.energy.or.kr)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