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메탄이 기존 배관망과 친환경 수송까지 아우르는 저탄소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미지 편집
바이오메탄이 기존 배관망과 친환경 수송까지 아우르는 저탄소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미지 편집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이 전 세계적 과제로 부상하면서, 천연가스 산업도 이제 ‘청정화’를 요구받고 있다. 이에 따라 바이오가스를 정제한 '바이오메탄'이 천연가스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저탄소 연료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가스공사 경제경영연구소 남궁윤 책임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가스업계에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할 잠재력이 충분하다는 평가다.

바이오메탄은 유기성 폐기물(가축분뇨, 음식물 쓰레기 등)을 혐기성 소화해 얻은 바이오가스를 정제해 만든 고순도 메탄이다. 연소 시 CO₂를 배출하더라도 원료 단계에서 탄소를 흡수한 생물기반 자원이기 때문에 순환형 재생에너지로 분류된다.

특히 이 연료는 기존 도시가스 배관망에 바로 주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인프라 활용이 가능하고, 천연가스차량(NGV)·선박 연료·LNG 벙커링 등 수송용 연료 대체재로도 활용 가능성이 높다.

IEA(국제에너지기구)는 Net Zero 시나리오 실현을 위해 2030년까지 바이오메탄 생산을 5배 이상 확대해야 한다고 밝히며, 각국이 인센티브와 인증제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은 RNG(재생천연가스)로 분류해 교통용 연료 중심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으며, 유럽은 REPowerEU 정책을 통해 천연가스 사용량의 최대 20%를 바이오가스로 대체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보고서는 특히 국내 도시가스 업계가 바이오메탄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기회가 충분하다고 강조한다. 바이오가스 기반의 그린수소, CO₂와 결합한 e-메탄 생산 등은 기존 천연가스 공급망과 호환되며, 탄소중립·수소경제 전략과의 연계성도 크다.

또한 해외에서는 액화 바이오메탄(LBM) 수입, 상쇄배출권 활용, 바이오가스 전력생산에 대한 REC 확대 등 다층적 수익모델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는 국내 사업자들에게도 적용 가능한 전략이다.

특히 수송 부문에서는 천연가스차량 보조금 중단 이후 위축된 CNG/LNG 차량 시장을 바이오메탄으로 되살릴 수 있는 정책적 연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수소차 보급 확대와 함께 바이오가스 기반 저탄소 연료의 역할 확대가 병행돼야 한다는 분석이다.

2023년 시행된 ‘바이오가스 생산 및 이용 촉진법’과 함께 정부는 지난해 6월 바이오가스 활성화 전략을 발표했다.  이 전략에는 △시설 확충 공급 인증제 도입 △도시가스 주입 확대 △신규 수요처(수소, 메탄올 등) 개발이 포함되었다.

하지만 아직도 국내 유기성 폐자원의 바이오가스화 비율은 전체 처리량의 6%에 불과하고, 생산된 바이오가스의 15%가량이 미활용되는 등 기반 미흡 문제도 존재한다.

보고서는 "제도적 기반은 마련됐지만, REC 가중치 개선, 바이오가스 전력에 대한 정당한 보상, 바이오메탄에 대한 '녹색프리미엄' 제도화 등 실질적 인센티브 강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