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석유 수요는 여전히 증가하지만, 더 이상 ‘자동차 연료’가 아니다. /이미지 편집
중국의 석유 수요는 여전히 증가하지만, 더 이상 ‘자동차 연료’가 아니다. /이미지 편집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중국의 석유 수요가 2025년 1.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 증가분은 운송용 연료가 아닌 석유화학 수요의 급증에 의해 주도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 같은 예측은 중국석유천연가스공사(CNPC: China National Petroleum Corporation)가 최근 발표한 연례 전망 보고서를 통해 나왔다.

CNPC 산하 경제기술연구원(ETRI)은 올해 중국의 석유 소비량이 7억6,500만 톤, 일일 기준으로 약 1,536만 배럴(bpd) 수준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CNPC 싱크탱크 부총재 우모위안(Wu Mouyuan)은 "운송 부문 연료 수요는 이미 정점(plateau)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기차(EV) 보급 가속과 제조업 중심 경제에서 서비스산업 중심으로의 전환이 맞물린 구조적 변화 때문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 또한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의 연료용 석유 수요는 성장이 제한적인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한 바 있다. 반면, 석유화학 수요는 여전히 성장 여력이 크다는 분석이다. 현재 중국의 석유화학 소비 수준은 선진국 평균의 60% 수준에 불과해 향후 산업용 수요 중심의 수요 확대가 예상된다.

CNPC는 2025년 국제유가가 평균 65~75달러/배럴 범위에서 움직일 것으로 예상했다. 2026~2030년 중장기 전망에서도 60~70달러 수준의 안정적 흐름을 기본 시나리오로 설정했다.

다만, 보고서는 "트럼프 요인(The Trump factor)이 유가에 가장 큰 불확실성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제재 정책이 유가를 상·하방 모두로 요동치게 할 수 있다는 경계심이 드러난 것이다.

중국 내부의 경제 회복력도 핵심 변수다. 2024년 경제성장률은 목표치를 간신히 달성하는 데 그쳐, 2025년의 경기 반등 여부가 글로벌 원유 수급에도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