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환경부는 3월17일~4월3일까지 서울 수도권, 충청·대전 등 전국 7개 권역에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및 유족들과 함께 총 10회의 간담회를 진행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는 대면과 비대면을 포함, 360여명의 피해자와 유족이 참석했다.

환경부는 이번 간담회를 통해 가습기살균제 피해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방향과 피해자 지원 사업을 설명하고, 피해자 합의대표 선임의 필요성 및 방안을 제시하는 한편 참석자들의 개별 의견을 청취하는 자리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특히 이번 간담회를 통해 정부 주도의 신속한 집단 합의 추진에 대한 피해자들의 높은 기대가 나타났으며, 합의 기준 설정과 대표 선출 방식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고 전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피해자와 유족들은 간담회에서 정부가 주도하는 신속한 집단합의를 원한다고 밝혔다. 또 합의 후에도 치료비 지원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다수였다.

간담회에서는 피해 구제와 관련해서는 여러 제안이 있었다.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법’ 내 국가 책임을 반영해 줄 것을 요청하며, 현역 입대 기준 완화 및 피해구제 청구 방법 간소화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더불어 일부 참석자들은 개인별 피해 인정 및 피해 등급 판정에 대한 이의 제기를 했고, 환경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재심사와 관련된 제도 및 절차를 안내했다고 전했다.

한편 환경부는 간담회 후속 조치로 피해자와 유족을 대상으로 집단 합의 희망 여부와 합의대표 선임 방안에 대해 개별 의견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 조사는 이달 말부터 진행되며, 의견 조사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가습기살균제피해종합지원센터(1833-9085)를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

환경부는 이번 간담회에서 나온 정책 및 제도 개선 관련 의견을 면밀히 검토해 향후 집단합의위원회의 논의 및 관련 법령 개정 과정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