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에너지는 지난 3월 19일 나주에 위치한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에서 ‘제15차 ESG위원회’를 개최했다. /해양에너지 제공​​​​​​​
해양에너지는 지난 3월 19일 나주에 위치한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에서 ‘제15차 ESG위원회’를 개최했다. /해양에너지 제공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광주 일부 지역의 도시가스 공급 지연 논란과 관련해 해양에너지가 공식 입장을 밝혔다. 해양에너지는 "이번 사안은 공급 중단이 아니라, 요금 구조상 투자여력 제약에 따른 공급 일정 지연”이라며 “일부에서 제기되는 주주사 연관 해석은 사실과 다르다"고 강조했다.

16일 해양에너지는 입장문을 통해 “광주 도시가스 소매공급비용은 7년째 동결된 반면, 매년 공급 세대수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며, “이는 공급 확대를 위한 투자비 확보에 구조적 한계를 초래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양에너지는 2021년부터 2024년까지 광주 내 신규 공급 세대가 연평균 1만 5천 세대를 웃도는 가운데, 도시가스 공급에 필요한 인프라 확충이 현행 요금 구조로는 지속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현재 도시가스 소비자 요금은 가스공사 도매요금(약 91%)과 도시가스사의 소매공급비용(약 9%)으로 구성되며, 광주시의 승인 하에 공급비용이 결정된다.

■ "공급비 10% 인상해도 소비자 부담은 1% 미만"

해양에너지는 “외부 회계법인 분석 결과, 공급비용을 10% 인상하더라도 소비자 요금에는 1% 미만의 영향만 미친다”며 “광주를 제외한 전국 16개 지자체는 공급비를 인상했지만, 광주는 7년째 동결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공급 확대에 필요한 기본 재원 자체가 부족하다는 것이 해양에너지의 설명이다.

또한, “이번 공급 지연이 일부 주주사의 결정 또는 의도라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며, 공급비용의 구조적 문제로 이해해 달라”고 선을 그었다.

■ "에너지 복지 위해 공급비 정상화 필요"

해양에너지는 “광주 시민의 에너지 복지 향상을 위해 공급 확대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안정적인 공급과 인프라 확충을 위한 공급비용 정상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