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튀르키예가 투르크메니스탄산 천연가스를 카스피해 해저 파이프라인을 통해 직수입하는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Tayyip Erdoğan) 튀르키예 대통령은 최근 이스탄불 천연자원 정상회의(Natural Resources Summit)에서 “향후 5년 안에 투르크멘 가스를 카스피해를 거쳐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는 이란을 경유한 소규모 도입이 이뤄지고 있으며, 2025년 3월부터 총 2억5천만㎥의 투르크멘 가스가 터키로 공급된 상태다. 연말까지 총 13억㎥로 확대될 예정이다. 튀르키예는 지난 2월 10일, 양국 간 에너지 협력 확대를 위한 고위급 합의서에 서명하며 전략적 협력 관계를 강화해왔다.
오랜 기간 정치적·환경적 이슈로 지연됐던 트랜스-카스피 파이프라인(Trans-Caspian Pipeline)은 이번 발표로 다시 동력을 얻는 모양새다. 해당 파이프라인이 현실화되면 투르크메니스탄은 직접 튀르키예 및 유럽 시장에 천연가스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유럽 입장에서는 러시아 가스 의존도를 줄일 대안 중 하나로 주목된다.
다만 메탄가스 배출 문제는 여전히 리스크로 남아 있다. 2025년 2월, 미국 에너지부는 “투르크메니스탄은 세계 5위 천연가스 매장국이지만, 메탄 감축 노력이 미흡하다”는 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다. 같은 해 해당 국가는 건식가스 3조 입방피트를 생산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 튀르키예, 흑해 넘어 카스피해·이라크까지…에너지 영토 확장 가속
- 파키스탄, 원유 매장량 23% 급증…2020년 이후 첫 대규모 증가
- 튀르키예, 이라크 석유 수송 새 판 짠다…지중해 연결 신노선 추진
- 튀르키예, 에너지 자립 가속화… 천연가스·석유 개발 본격화
- 정부, 튀르키예·사우디와 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
- 튀르키예-카타르 천연 가스 파이프 라인 부활 가능성
- 아부다비 XRG-페트로나스, 중앙아 해상 가스전 공동 투자…장기 GSA 체결
- 튀르키에 선박기업, 그린수소 기반 해운 연료 본격화
- 튀르키예, 흑해서 750억㎥ 가스 추가 발견…총 매장량 7850억㎥로
- 투르크메니스탄, 미·러 외교전 격화…카스피해 긴장 고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