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가스 이용기술도./한국바이오연료포럼 제공

[투데이에너지 정재현 기자] 환경부는 바이오가스법 시행과 관련해 지난해12월에 생산목표제가 본격 도입되고 통합 생산시설도 확대됨에 따라 바이오가스 생산량이 증가될 것으로 예측해 ‘바이오가스 고부가가치 활용 확대 방안 에 대한 연구’ 용역을 입찰 실시한다.

연구과제는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된 신재생에너지, 바이오연료, 수소, CO₂ 포집 등 관련 법령, 정책, 제도, 연구과제 관련 용역과 유기성 폐자원 바이오가스화시설 관련 운영 및 설계 용역이다

또한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탄소중립 목표를 이행하기 위한 바이오가스 고부가가치 활용 확대 방안 수립하는 내용의 골자로 연구용역을 입찰 공고했다.

국내 바이오가스 생산·활용에 따른 현황 및 제도 조사·분석으로는 △바이오가스 활용 시설 설치·운영 현황 조사 △시설 내부 활용(전력, 열원 등) △연료 활용 △발전 △열병합발전 및 열에너지 활용 △도시가스 공급 △CNG 충전 △수소 생산 △수소연료전지 등 활용 방법별 비교·구분(방법별 사례 3개 이상 현장조사) △바이오가스 공급 형태 △공급 비용 △활용 시설의 설치·운영 비용 △바이오가스 활용에 따른 장·단점 등 조사 등이다.

바이오가스 생산 및 방법별 활용 현황 분석으로는 △인구 구성 △지역 등 특징에 따른 생산시설 형태 비교·분석 △공공·민간 차이 △지리적 이점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규모·형태 △유기성 폐자원 종류 등에 따른 선호 활용 방법과 비교·분석 등이다.

바이오가스 활용을 위한 국내 제도 조사·분석으로는 △활용 방법별 시설 설치 △바이오가스 공급 등 관련 규제 조사·분석 △바이오가스 생산-운반·공급-활용·판매 전 과정에 대한 자료 분석 △활용 방법별 바이오가스 사용 시 인센티브 제도 조사·분석 △現 바이오가스 활용에 따른 한계점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도출 등이다.

국내·외 바이오가스 수요 관련 조사·분석으로는 △바이오가스 생산·활용 확대를 위한 국내·외 동향 조사 △국제 저탄소 규범 강화 △국제 정세에 따른 국내 정책 및 관련 산업 동향 조사 △바이오가스 관련 국외 제도 및 사례 조사·분석 △EU, 미국, 일본 등 국가별 규제 및 인센티브 제도 조사 △국가별 바이오가스 활용 관련 사업 운영 사례 조사 등이다.

저탄소 규범 강화에 따른 바이오가스 연관 산업 분석으로는 △국제 바이오가스 연관 산업 규모 및 성장 가능성 조사·분석 △바이오가스 활용 수소, 수소 연료전지, 청정메탄올 생산 등 포함 △국내 바이오가스 고부가가치 수요처(활용처) 예측 및 가치 분석 등이다.

용역기간은 계약일로부터 10개월이며 사업예산은 3억2,000만원이고 전자입찰서(가격) 접수개시일은 오는 8월 5일까지이고 접수마감일은 오는 8월 7일까지이다.

개찰장소는 나라장터이고 개찰일시는 제안서 기술능력평가 후 개찰을 실시한다.

과업 내용에 관련한 제안서 등의 문의는 환경부 생활하수과로 하면 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