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 LG소셜캠퍼스의 지원을 받은 친환경 스타트업 에스제이기술이 폐알루미늄을 고순도 초미립 수산화알루미늄으로 완전 재생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는 데 성공하며 국내 자원순환 산업의 새 지평을 열었다.
이는 LG전자와 LG화학이 15년간 190개의 친환경 스타트업을 육성하며 구축한 국내 ESG 생태계의 최대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24일 LG소셜캠퍼스에 따르면 에스제이기술의 혁신적인 기술은 매년 국내에서 약 6만 톤 발생하는 알루미늄 폐기물(드로스)이 매립되거나 야적되어 대형 화재로 이어지는 위험을 방지하고, 이를 고부가가치 자원인 초미립 수산화알루미늄으로 탈바꿈시킨다.
이 기술은 기존 재활용 알루미늄이 순도 문제로 산업 활용이 제한되었던 한계를 넘어, 기계, 배터리, 전자소재, 건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즉시 적용 가능한 품질을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 상용화는 △알루미늄 폐기물 대폭 감축 △화재 및 산업재해 예방 △국내 소재 산업의 친환경 전환을 가속화하며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그린전략 정책의 핵심 목표와도 부합하는 중요한 성과다.
LG소셜캠퍼스는 에스제이기술의 기술 상용화와 함께 15주년을 기념하여 25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LG소셜캠퍼스 임팩트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이 행사에서는 에스제이기술이 재생 알루미늄 양산 설비 구축을 위한 200억 원 규모의 신규 투자 약정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며, 15년간 육성된 친환경 스타트업들을 위한 기후테크 네트워크 행사로 기술 교류회 및 민간 투자 상담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LG전자 최건 책임은 “기후환경 분야의 극초기 단계부터 기술을 고도화해 온 국내 임팩트 스타트업들이 이제 세계 무대에서 산업경쟁력을 증명하고 있다”며, “에스제이기술의 상용화 성공은 대한민국 폐기물 및 소재 산업 분야에서 기술적 리더십을 확보했음을 상징하는 중대한 사건”이라고 강조했다.
LG소셜캠퍼스는 LG전자와 LG화학이 지원하고 사단법인 피피엘이 운영하며, 친환경 및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소셜벤처와 사회적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금융 지원, 공간 지원, 성장 지원, 인재 육성 등 통합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 용어 설명
ㆍ에스제이기술폐알루미늄 드로스 (Aluminum Dross)=알루미늄을 용해하거나 정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형태의 알루미늄 폐기물. 주로 금속 산화물과 불순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과 반응 시 발열 및 폭발 위험이 있어 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다.
ㆍ초미립 수산화알루미늄 (Ultra-fine Aluminum Hydroxide)=수산화알루미늄(Al(OH)₃)을 매우 미세한 입자 형태로 가공한 물질. 순도가 높고 입자가 작아 기계, 배터리, 전자소재, 건설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 산업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ㆍLG소셜캠퍼스(LG Social Campus)=LG전자와 LG화학이 지원하고 비영리법인 피피엘(PPL)이 운영하는 사회공헌 플랫폼이다. 환경 문제 해결 및 사회적 가치 창출을 목표로 하는 친환경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를 발굴하고 육성한다.
ㆍ임팩트 스타트업 (Impact Startup)=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재무적 수익과 함께 사회적 또는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여 긍정적인 '임팩트(Impact)'를 창출하는 스타트업.
ㆍ오픈 이노베이션 (Open Innovation)=기업 내부의 자원과 아이디어뿐만 아니라 외부의 기술, 아이디어, 역량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혁신을 추진하는 개방형 혁신 전략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