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ggingface에 공개된 AtomicGPT/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Huggingface에 공개된 AtomicGPT/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투데이에너지 안후중 기자]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이 세계 최초로 원자력 분야에 특화된 인공지능 대규모 언어모델 'AtomicGPT'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모델은 원자력 산업의 전문성과 보안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80억 개와 700억 개의 파라미터를 가진 두 가지 버전의 AtomicGPT를 개발했다. 파라미터는 생성형 AI가 정보를 학습하고 기억하는 시냅스 역할을 하며 그 규모가 커질수록 답변의 수준이 높아진다. 작은 규모 버전은 빠르고 가볍게 사용하고 큰 규모는 어려운 질의응답에 사용한다. 

이 모델은 원자력 분야에 최적화하기 위해 원자력 관련 논문, 사전, 규정집, 보고서 등 방대한 전문 데이터를 학습해 높은 정확도를 자랑한다. 특히 10년 이상 원자력 연구개발을 담당해 온 전문가들이 어휘와 지시문을 가공했다.

자체 개발한 성능 평가 기준인 '원자력 분야 평가 기준(AtomBench)'에서 메타의 라마3.1, 알리바바의 큐원2.5 등 글로벌 언어모델보다 5~24% 높은 답변 정확도를 확인했다.

원자력 분야는 일상에서 쓰이지 않는 전문용어가 많아 일반 대화형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활용한 검색에서 그 한계가 명확했다.

연구원은 AtomicGPT의 활용 범위를 보고서 작성, 규제 검토, 기술 검증 등 문서 업무를 넘어 원전 시뮬레이터 제어와 AI 운전원 개발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실시간 데이터 기반 사고 예측 및 안전성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다.

유용균 KAERI 인공지능응용연구실장은 "원자력 특화 거대언어모델을 공개함으로써 산학연 협력의 새로운 장을 열고, 궁극적으로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원전 운영을 위한 AI 에이전트 개발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발에는 KAERI 연구진과 함께 UST,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구팀이 공동 참여했으며, 모델은 현재 허깅페이스(Huggingface)에서 누구나 접근 가능하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