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안후중 기자] 사용후핵연료의 안전한 관리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다. 특히 방사성 물질로 인해 내부 온도 측정이 어려운 건식 저장시설의 경우 정확한 온도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 국내 연구진이 건식 저장시설 내부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운반저장기술개발실은 건식 저장시설 환경을 모사한 ‘사용후핵연료 건식 캐니스터 열시험 장치’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장치는 사용후핵연료를 보관하는 캐니스터 내부의 온도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어 안전한 저장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실제 사용후핵연료와 유사한 모의 핵연료 집합체를 제작하여 내부 온도를 모사했다. 모의 핵연료봉 내부에 전기장치(히터)를 삽입하여 발열하는 모의 히터봉 236개를 만들어 실제 핵연료 집합체와 유사한 환경을 구현했다. 이를 통해 건식 저장시설 내부의 온도 변화를 정확하게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게 됐다.
연구원은 향후 해당 시험 장치를 이용해 다양한 열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시험 DB는 국내 사용후핵연료 건식 저장 인허가 해석모델 검증 데이터로 활용하고 현재 사용 중인 보수적인 예측 모델을 개선하는 데 쓰일 예정이다. 사용후핵연료를 안전한 범위내에서 효율적으로 배치해 경제적인 손실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