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성핵종 분리 시스템인 ‘오픈프랩 센서 이벤트로 작동하는 개방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개발에 참여한 연구진/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방사성핵종 분리 시스템인 ‘오픈프랩 센서 이벤트로 작동하는 개방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개발에 참여한 연구진/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투데이에너지 안후중 기자]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로봇과 센서를 활용한 혁신적인 핵종 분리 장치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종광 박사팀이 개발한 이 기술은 방사성폐기물 분석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기존 방사성핵종 분석 방식은 시약 투입과 분리 과정에서 많은 한계가 있었다. 수동 방식은 시약 속도 조절이 어렵고, 자동 방식은 복잡한 장비 구성과 잦은 세척 등의 문제가 있었다.

로봇·센서 적용 핵종 분리 장치 구성 모습/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로봇·센서 적용 핵종 분리 장치 구성 모습/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새로 개발된 분리 장치는 로봇을 활용해 방사성 시료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시약을 투입한다. 여기에 비접촉 센서를 적용해 분리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연구팀은 테크네튬, 스트론튬 등 5종의 핵종을 기존 방식 대비 3배 빠르게 분리하는데 성공했다. 핵종 회수율도 83~97%에 달해 분석의 정확성을 크게 높였다.

류재수 선진핵주기기술개발부장은 "이 기술은 원자력 시설 운영과 해체 과정의 방사성폐기물 분석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애널리티컬 케미스트리'에 게재됐으며, 관련 특허도 다수 등록됐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