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 대한민국 원전해체 산업의 새로운 장을 여는 ‘2025 원전해체 비즈니스 포럼’이 19일 오후 경주 라한셀렉트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의 공동 주최로 열린 이번 포럼에는 국내외 원전해체 분야 전문가 350여 명이 한자리에 모여 국내 사업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글로벌 해체 경험을 공유했다.

특히, 이번 포럼은 국내 최초 원전인 고리 1호기의 해체 계획이 지난 6월 최종 승인된 이후 개최되었다는 점에서 한국 원전해체 산업의 본격적인 출발을 알리는 특별한 의미를 더했다.

포럼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양기욱 원전전략기획관을 비롯해 지자체 및 산·학·연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행사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제1부 '원전해체 산업 현황과 계획'에서 한국수력원자력(권원택 처장), 원자력복합기술연구원(김선일 부장), 한전KPS(김남균 처장), 포미트(강기수 대표) 등 주요 기관 및 기업들이 국내 원전해체 사업의 추진 현황과 향후 계획을 발표하며 핵심 기술 및 전략을 공유했다.

제2부 '원전해체 산업 상생과 경쟁력 강화'에서는 한국원자력환경공단(김진하 팀장)과 한국수력원자력(홍성혁 차장)이 기술 이전 및 중소기업 수출 지원 체계 고도화 방안 등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을 소개했다.

제3부 '글로벌 원전해체 경험과 교훈'에서는 경희대학교 정재학 교수가 글로벌 원전해체 동향과 시사점을 분석했으며, NUKEM의 안드레아스 리겔(Andreas Riegel) 프로젝트 엔지니어링 총괄은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 경험을, 나라하 원격기술개발센터의 아키히로 타가와(Akihiro Tagawa) 센터장은 후쿠시마 제1원전 해체에 활용된 DX 및 원격기술 사례를, 프라마톰(Framatome)의 하이코 헤르벨(Heiko Herbell) 사업개발 부책임자는 프라마톰의 해체 전문 기술을 공유하며 국제적인 해체 노하우와 성공 사례를 전달했다.

양기욱 산업통상자원부 원전전략기획관은 축사를 통해 “고리 1호기의 해체는 우리나라가 원전 해체 기술 자립과 산업화를 동시에 이룰 수 있는 첫 기회”라며, “정부는 기술 개발, 인력 양성, 기업 지원 등 산업 전반의 기반을 다져 글로벌 해체 시장에 본격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포럼은 한국이 글로벌 원전해체 시장의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미래를 위한 기반을 다지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