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우리나라 바다로 들어오는 해양폐기물 총량은 약 14만5,000톤으로 추정된다. 이 중 육지 유입 65%, 바다 유입량은 35%가량이다. / 한국해양환경공단 제공
매년 우리나라 바다로 들어오는 해양폐기물 총량은 약 14만5,000톤으로 추정된다. 이 중 육지 유입 65%, 바다 유입량은 35%가량이다. / 한국해양환경공단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환경부와 해양수산부는 17일 한국농어촌공사 금강사업단 회의실에서 육상과 해양의 지속가능한 환경보전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부처는 이번 협약을 통해 기후변화와 해양폐기물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자원순환 촉진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협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업무협약 주요 협력 사항으로 기후위기가 해양·수산 분야에 미치는 영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후적응 협력과 해양폐기물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 대응방안 마련, 해양폐기물 재활용 확대를 통한 자원순환 촉진 등이 포함된다.

이날 양 부처 장관은 충남 서천군 홍원항을 방문, 해상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폐어구 발생 현황을 점검하는 등 해양폐기물 현장을 직접 찾아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후 장관들은 전북 군산의 금강하구둑 현장을 방문해 하천과 댐에서 해양으로 흘러가는 부유쓰레기 관리 현황을 점검하고 한국수자원공사와 해양환경공단 등 관계기관으로부터 보고를 받았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환경부와 해양수산부의 협력은 기후변화 및 폐기물 문제 등 현안 해결의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장관급 협의체를 통해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번 협약은 환경부와 해양수산부가 굳건하게 협력을 다짐하는 역사적인 날”이라며 “해양폐기물 문제를 비롯해 기후위기에 대응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발굴을 위해 환경부와 지속해서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기후위기와 해양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첫걸음으로 두 부처의 협력 강화가 향후 지속가능한 환경보전에 중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