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공단은 28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무작위 점검 시 20%에 불과한 폐기물 관리 위반업체 적발률을 3배 이상 향상 시켜 68%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 한국환경공단 제공
한국환경공단은 28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무작위 점검 시 20%에 불과한 폐기물 관리 위반업체 적발률을 3배 이상 향상 시켜 68%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 한국환경공단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한국환경공단(환경공단)은 28일 지난해 폐기물 관리 위반업체 120개소를 적발했다고 밝혔다.

공단은 위반업체 적발과 관련해 “폐기물 부적정처리 의심업체 선별모델을 개발하고 폐기물 빅데이터를 분석해 실효성 높은 점검을 실시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공단이 운영하는 폐기물적정처리추진센터는 매년 폐기물 부적정처리 의심업체를 선정, 지자체와 환경청 등 감독기관과 협력해 합동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공단은 2023년부터 폐기물처리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수집된 연간 1300만 건의 폐기물 빅데이터를 분석, △폐기물 허용보관량 초과 △잔재물 미처리 △처리능력 130% 초과 등 7종의 선별모델을 개발했다고 전했다.

이런 선별모델을 기반으로 공단은 지난해 실효성이 낮은 선별기준을 개선하고 177개소의 의심업체를 선정해 합동점검을 실시, 120개소의 위반업체를 적발했다.

이로 인해 위반업체 적발률이 68%로 대폭 향상되면서 불법 폐기물 처리 근절을 위한 공단의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

한편 공단은 폐기물처리 현장 정보 전송제도를 본격 시행하며 ‘시니어 상담원’ 시범운영 등 폐기물 처리업체의 애로사항 발굴과 현장 소통 창구 확대에도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공단은 이를 통해 처리업체들이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을 보다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임상준 이사장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행정 실천으로 폐기물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불법 폐기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것"이라며 "올해부터 본격 시행되는 현장정보 전송제도의 안정적 운영에도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