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미국과 캐나다 간 에너지 갈등이 심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25% 관세 부과 계획에 맞서, 캐나다는 미국으로의 에너지 공급을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캐나다 온타리오(Ontario) 주지사는 미국 미시간(Michigan), 뉴욕(New York), 위스콘신(Wisconsin) 등에 대한 에너지 공급 중단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더그 포드 온타리오 주지사는 지난 10일(현지 시간),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응하여 미국으로 수출하는 전기에 25%의 할증료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다음날, 포드 주지사는 미국 상무장관과의 협상을 위해 이 조치를 잠정 중단한다고 밝혔다. 전력 공급 중단의 구체적인 시점은 현재로서는 결정되지 않았으며, 협상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온타리오는 원유 주요 생산 지역은 아니지만, 미국에 전력을 공급하는 핵심 지역이다. 전력 차단은 캐나다가 미국에 취할 수 있는 강력한 보복 조치 중 하나로 평가된다.
캐나다 측은 이러한 조치로 자국 내 전력 공급이 불안정해질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미국 역시 상당한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국은 지난해 총 3890만MWh의 전력을 수입했으며, 이 중 3320만MWh(약 85%)가 캐나다산이었다. 그러나 미국의 총 전력 소비량에서 수입 비중은 1% 미만으로 미미한 수준이다.
그러나,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피크 시즌이나 발전소 운영이 부진한 시기에는 캐나다 전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 특히 퀘벡(Quebec)과 브리티시컬럼비아(BC) 주의 수력발전이 미국 전력망의 안정성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공급 중단 시 일부 지역에서는 전력 수급 불안정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캐나다 정부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관세를 강행할 경우 가용할 수 있는 모든 대응 수단을 고려할 것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는 세계 최대의 에너지 교역국으로, 양국 간 에너지 거래는 전력뿐만 아니라 원유, 천연가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하게 얽혀 있다. 따라서 에너지 공급 중단이 현실화될 경우, 미국 내 전력 및 연료 가격 상승, 산업 가동 차질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美 철강관세에 따른 철강산업 리스크 대응 방안 마련
- 미, 87개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에 12일부터 관세 25% 부과
- 중국 LNG 수입, 5년 만에 최저치…유럽 가격 상승이 영향
- 미국, 한국에 기록적인 원유 수출…중국 수출 급감
- 트럼프發 관세 충격…멕시코, 아시아와 손잡고 원유시장 재편 노린다
- 한미 조선업 협력 본격화…한국, '관세 협상 카드'로 활용 가능성 주목
- 중국, 미국과의 무역 긴장 속 에너지 관세 제외…LNG 시장 영향은?
- 트럼프, 한국·일본의 알래스카 LNG 투자 강조…에너지 지형 바뀔까?
- LNG 수요 지형도 변화…북미는 확대, 유럽·아시아는 감축 기조
- 미국, 공무원 감축이 LNG 프로젝트 승인 지연 초래
- 냉방용 천연가스 소비 217% 증가…난방·산업용은 감소
- 캐나다 LNG 첫 수출 초읽기…알래스카·미국 시장 영향 주목
- "그린이냐 블루냐"…수소엑스포서 드러난 캐나다 에너지의 딜레마
- FERC "미국 전력망, 여름 폭염·AI 수요로 4년 만에 최대 위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