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국립환경과학원(환경과학원)이 오는 18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글로벌 과불화화합물 대응 방향과 처리기술’을 주제로 국제 학술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서는 과불화화합물(PFAS)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대응 사례를 공유하고, 적정 처리기술을 모색하기 위한 다양한 발표와 종합토론이 진행된다.
환경과학원에 따르면, 행사에선 일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타니야스 박사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과불화화합물의 발생 특성과 오염원에서의 배출 특성을 다룬다.
전준호 창원대학교 교수의 좌장 아래 호주 서호주대학교의 낸시 볼란 교수와 문효방 한양대학교 교수, 유홍덕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사가 각각 다매체에서의 발생 특성과 환경에서의 거동·폐수 배출원에서의 검출 및 제거 특성에 대해 발표한다.
토론회에서는 과불화화합물의 최첨단 처리 기술과 관리가 주제가 논의된다. 또 미국 스토니 브룩 대학교의 로케쉬 파디에 교수와 이윤호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최용주 서울대학교 교수, 글루게 율리아네 스위스 취리히공과대학 박사의 발표가 이어진다.
특히 유럽의 과불화화합물 규제 현황과 국내 먹는물 오염 현황 및 대응 전략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종합토론은 김성표 고려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아 과불화화합물 문제 해결을 위한 관리 방향과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갖는다. 윤정기 국립환경과학원 물이용연구과장, 문효방 교수, 최용주 교수, 최지용 서울대학교 교수 등이 참여해 심도 깊은 논의를 펼친다.
이번 행사는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 국민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생방송을 통해 전 세계 과불화화합물 대응에 대한 논의가 공유된다. 생중계는 ‘국립환경과학원’ 유튜브 채널에서 시청할 수 있다.
금한승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이번 학술토론회는 과불화화합물 문제 해결을 위한 전 세계적인 대응 기조를 공유하고,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자리”라며 “논의된 내용은 향후 과불화화합물 관리 정책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