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유역환경청은 30일 오후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충청권 화학안전공동체 161개 회원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화학사고예방과 화학물질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금강유역환경청 제공
금강유역환경청은 30일 오후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충청권 화학안전공동체 161개 회원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화학사고예방과 화학물질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금강유역환경청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금강유역환경청(금강청)이 충청권 내 화학사고 예방과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화학안전공동체’의 내실 다지기에 나섰다.

금강청은 30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관할 24개 화학안전공동체 소속 161개 기업과 한국환경공단, 서산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등 관계기관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4년 충청권 화학안전공동체 통합세미나’를 열고 기업 자율 안전관리 역량 제고에 방점을 찍었다.

금강청에 따르면, 이번 세미나는 지난 2월 개최된 공동체 주관사 간담회에서 현장기업들이 제기한 ‘법령 개정 이해 부족’ 등 실질적 고충을 반영해 마련된 자리로 단순한 행정 홍보성 교육에서 벗어나 정책 변화 대응과 사례 중심 소통에 초점을 맞췄다.

세미나에서는 △2025년 공동체 주요 추진 방향 △화학사고 예방 우수사례 공유 △화학물질안전원 주관 유독물질 지정·관리체계 개편 안내 △화학물질관리법 개정 주요 내용 설명이 이뤄졌고, 현장 기업들의 건의사항에 대한 실시간 질의응답도 진행됐다.

특히 오는 2025년 8월부터 시행될 화관법 개정에 따라 유독물질 지정 체계가 대폭 바뀌는 만큼, 현장 기업들의 혼선을 줄이기 위한 실무 중심 강의가 큰 호응을 얻었다.

금강청 관계자는 “화학안전공동체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수직적이 아닌 수평적 관계로 안전관리 노하우를 공유하는 민간 주도 협력 모델”이라며 “지자체, 관계기관과 연계한 정기 합동훈련과 현장 컨설팅을 통해 화학사고 예방의 실효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송호석 청장은 “화학물질 사고는 한순간에 지역 전체를 위협할 수 있는 만큼, 기업의 자발적 참여와 정부의 체계적 지원이 함께 가야 한다”며 “금강청도 법 집행기관을 넘어 동반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금강청 관할 ‘충청권 화학안전공동체’는 2013년 18개 기업으로 출범해 10년 만에 161개사로 확대됐으며, 매년 수차례 합동훈련과 정보공유 세미나를 통해 현장 대응력을 높여가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