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중국이 미국산 LNG, 원유, 석탄 수입을 사실상 중단한 상태를 계속 이어갈 전망이다. 최근 미·중 양국이 90일간의 관세 유예(Truce)에 합의했지만, 에너지 분야는 이번 완화조치의 예외에 가깝다. 시장조사업체 Kpler는 “미국산 LNG는 여전히 25%의 대중국 수출관세가 유지되고 있으며,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일시적 관세 휴전으로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부과되던 145%의 관세를 30%로 낮추고, 중국도 대부분의 미국 제품에 대한 관세를 10%로 조정했지만, LNG·LPG·석탄 등 에너지 상품은 구조적·정치적 요인으로 여전히 제한을 받고 있는 분야로 평가된다.
■ 2024년 美→中 LNG 수출 70% 급감…3월 이후 인도량 ‘0’
실제로 미국의 대중 LNG 수출은 1분기에만 70% 급감했으며, 최근 40일간 중국으로 향한 선적은 전무한 상황이다. 2023년까지만 해도 미국산 LNG는 중국 전체 수입물량의 약 5%를 차지했지만, 2024년 들어 사실상 ‘제로(0)’가 됐다.
중국은 미국의 대이란 제재, 안보 갈등, 반도체 등 전략산업 통제를 포함한 정치적 불확실성을 이유로, 에너지 수입 다변화를 지속해왔다. 중국은 중동, 아프리카, 러시아산 에너지 수입을 확대하는 한편, 미국산 석탄과 LPG 수입도 2024년 3월 기준 각각 62%, 36% 감소했다.
■ “Phase One 재현 가능성 낮아”…에너지 협력, 협상 핵심 쟁점 부상
에너지 시장에서는 미·중 간 향후 ‘Phase-One’ 방식의 협정이 다시 추진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J.P.모건은 “양국 간 신뢰 부족과 정책적 분열로 구조적 협상이 매우 어려울 것”이라며, 향후 에너지·농산물·전략산업을 중심으로 갈등이 장기화될 가능성을 경고했다.
무역전쟁의 90일 휴전은 ‘정치적 시그널’ 이상의 실질적 변화 없이 지나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관세 유예에도 불구하고 미국산 에너지 수출은 여전히 '경제성 없음’의 벽에 부딪혀 있으며, 미·중 에너지 협력은 앞으로도 통상·안보·기술전쟁이라는 삼중 변수에 의해 좌우될 전망이다.
■ 용어 설명 :
· ‘Phase-One’ 방식의 협정 = 미·중 간 무역 갈등 완화를 위해 2020년 체결된 1단계 합의로, 중국이 미국산 농산물·에너지·공산품 등을 일정 금액 이상 수입하기로 약속하고, 미국은 일부 대중국 관세를 유예 또는 축소한 단계적·조건부 무역합의 모델
- 트럼프, 관세 '휴전' 이끌었지만 세계 무역 균형화는 미지수
- [분석] 美中 관세 인하, 한국 경제에 긍정적 영향 예상
- 미중, '관세 115% 인하' 90일간 전격 합의...무역 긴장 일시 완화
- [인터뷰] 조성봉 전력산업연구회 회장
- 중국, 미국산 LNG 수입 중단 연장…에너지 디커플링 심화
- 워싱턴이 흔드는 글로벌 에너지 질서…한국의 전략적 해법은?
-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하루 31만톤 공업용수 공급...1단계 설계 착수
- 무디스 "중국 석유수요 3~5년 내 정점, 인도는 지속 성장"
- [이슈] 트럼프 관세 정책의 충격파, 에너지 수요·공급 시나리오에도 균열
- 중국, 무역 협상 앞두고 미국산 에너지 수입 중단
- 아시아 석탄 수입 7월 7.8% 감소…중국·인도 수입 축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