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LNG 수입국 다변화 지도
중국의 LNG 수입국 다변화 지도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중국미국산 LNG, 원유, 석탄 수입을 사실상 중단한 상태를 계속 이어갈 전망이다. 최근 미·중 양국이 90일간의 관세 유예(Truce)에 합의했지만, 에너지 분야는 이번 완화조치의 예외에 가깝다. 시장조사업체 Kpler는 “미국산 LNG는 여전히 25%의 대중국 수출관세가 유지되고 있으며,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일시적 관세 휴전으로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부과되던 145%의 관세를 30%로 낮추고, 중국도 대부분의 미국 제품에 대한 관세를 10%로 조정했지만, LNG·LPG·석탄 등 에너지 상품은 구조적·정치적 요인으로 여전히 제한을 받고 있는 분야로 평가된다.

■ 2024년 美→中 LNG 수출 70% 급감…3월 이후 인도량 ‘0’

실제로 미국의 대중 LNG 수출은 1분기에만 70% 급감했으며, 최근 40일간 중국으로 향한 선적은 전무한 상황이다. 2023년까지만 해도 미국산 LNG는 중국 전체 수입물량의 약 5%를 차지했지만, 2024년 들어 사실상 ‘제로(0)’가 됐다.

중국은 미국의 대이란 제재, 안보 갈등, 반도체 등 전략산업 통제를 포함한 정치적 불확실성을 이유로, 에너지 수입 다변화를 지속해왔다. 중국은 중동, 아프리카, 러시아산 에너지 수입을 확대하는 한편, 미국산 석탄과 LPG 수입도 2024년 3월 기준 각각 62%, 36% 감소했다.

■ “Phase One 재현 가능성 낮아”…에너지 협력, 협상 핵심 쟁점 부상

에너지 시장에서는 미·중 간 향후 ‘Phase-One’ 방식의 협정이 다시 추진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J.P.모건은 “양국 간 신뢰 부족과 정책적 분열로 구조적 협상이 매우 어려울 것”이라며, 향후 에너지·농산물·전략산업을 중심으로 갈등이 장기화될 가능성을 경고했다.

무역전쟁의 90일 휴전은 ‘정치적 시그널’ 이상의 실질적 변화 없이 지나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관세 유예에도 불구하고 미국산 에너지 수출은 여전히 '경제성 없음’의 벽에 부딪혀 있으며, 미·중 에너지 협력은 앞으로도 통상·안보·기술전쟁이라는 삼중 변수에 의해 좌우될 전망이다.

 

■ 용어 설명 : 

· ‘Phase-One’ 방식의 협정 = 미·중 간 무역 갈등 완화를 위해 2020년 체결된 1단계 합의로, 중국이 미국산 농산물·에너지·공산품 등을 일정 금액 이상 수입하기로 약속하고, 미국은 일부 대중국 관세를 유예 또는 축소한 단계적·조건부 무역합의 모델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