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8일 구리 수입에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며 글로벌 구리 산업에 충격을 주었다. 전기자동차, 군사장비,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에 필수적인 구리를 둘러싼 미중 패권 경쟁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하워드 루트닉 상무부 장관은 관세가 7월 말이나 8월 1일까지 부과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명령한 구리 관세 부과 조사의 결과로 풀이된다.

미국은 매년 소비하는 정제 구리의 절반 이상을 국내에서 생산하고 있다. 국내 생산량의 3분의 2 이상이 애리조나주에서 채굴되지만, 이 지역에서는 대규모 신규 광산 개발이 10년 넘게 중단된 상태다. 

자료 : REUTERS
자료 : REUTERS

부족한 물량은 연간 100만 톤에 약간 못 미치는 양을 수입으로 충당하고 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칠레, 캐나다, 페루가 작년 정제 구리 수입량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백악관은 새로운 관세를 중국의 글로벌 시장 지배력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시했다. 실제로 중국은 콩고민주공화국(DRC)의 광산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통해 세계 구리 광산에 대한 지배력을 확대하고 있다.

자료 : REUTERS

콩고민주공화국은 중국의 막대한 투자로 페루를 제치고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구리 광산국이 되었다. 중국의 구리 제련 산업 역시 다른 모든 국가를 압도하고 있다. 작년 중국에서는 수십 개의 구리 제련소가 운영된 반면, 미국의 주요 구리 제련소는 단 두 곳뿐이다.

중국이 세계 구리 정련을 주도하고 있지만, 중국 제련소에 공급되는 광석의 대부분은 라틴 아메리카에서 채굴된다. USGS에 따르면 칠레와 페루는 작년 전 세계 구리 생산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했다.

​자료 : REUTERS​
​자료 : REUTERS​

이번 관세 부과는 미국이 구리 공급망을 재편하고 중국의 시장 지배력을 견제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하지만 친환경 정책과 광산 개발 간의 딜레마, 그리고 애리조나 구리 분쟁에서 보듯 환경 보호와 자원 확보 사이의 어려운 선택이 여전히 남아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