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청정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핵심광물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공급 과잉과 투자 위축이 복합되며 글로벌 광물 시장이 ‘불안한 균형’에 직면하고 있다.
한국에너지경제연구원(KIEEI)이 발간한 최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제25-12호)』 보고서는 IEA의 전망을 토대로 이러한 우려를 조명했다.
■ 가격 하락에도 수요는 증가…리튬·니켈 중심으로 수급 불균형 확대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리튬 수요는 전년 대비 약 30% 증가했지만, 공급이 이를 앞지르며 가격 하락 압력을 키우고 있다. 특히 리튬·코발트·흑연 등 배터리 광물의 경우 중국, 인도네시아 등 기존 주요국이 정제 능력을 집중 강화하며 정제제품 가격 하락이 더 뚜렷하다.
· 탄산리튬·수산화리튬 가격은 원광보다 더 큰 폭으로 하락
· 리튬은 짐바브웨, 아르헨티나 등 신규 공급국의 부상도 주목됨
· 망간은 공급 차질로 가격 반등했으나 대부분 광물은 하락세 유지
가격 약세로 인해 광산 개발 투자도 위축되고 있다. 2023년 14%였던 투자 증가율은 2024년 5%로 급감했고, 특히 니켈·코발트·아연 등은 탐사 실적까지 감소했다.
■ 정제 집중도 심화…중국의 독점 구도 더욱 견고
리튬·니켈·코발트 등 핵심광물의 정제는 여전히 중국과 인도네시아에 집중되어 있으며, 2024년 기준 전체 공급 증가분의 70~90%를 이들이 담당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리튬·코발트·흑연·희토류의 정제 점유율에서 6080% 이상을 차지하며 공급망 독점 구조를 고착화하고 있다.
· 니켈: 상위 3개 정제업체 점유율 80%
· 코발트: 상위 3개국 점유율 90%
· 흑연·희토류: 중국 중심의 공급 집중 지속
이 같은 구조는 광물 가격 불안정성 외에도 지정학적 리스크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 수출통제 전면화…전략광물 안보이슈 부상
전략광물은 단일 광물의 수급 차질이 산업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국가 간 공급 갈등과 무역 규제에 특히 민감하다. 보고서는 리튬, 희토류, 게르마늄, 텅스텐, 비스무트 등 전략광물이 수출 규제 대상에 잇따라 포함되며, 광물 안보가 지정학적 핵심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고 진단했다.
· 중국: 리튬 정제기술, LFP 음극재, 희토류 등에 대한 수출 제한
· 콩고: 2025년 코발트 수출 중단 조치
· 필리핀: 니켈 광석 수출 금지 제안
· 짐바브웨: 리튬·미가공 금속 수출 통제
전략광물의 공급 불안정성은 대체 불가능성과 부산물 생산 의존성 탓에 더욱 심각하다. 예컨대 비스무트는 주석의 부산물로 생산되기 때문에 수요가 급증하더라도 공급 확대가 어렵다.
■ 장기 전망: 공급 부족 불가피…2040년까지 리튬 5배 수요 증가
모든 시나리오에서 핵심광물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IEA에 따르면, 2040년까지 리튬 수요는 최대 5배, 흑연·니켈은 2배, 구리는 1.3배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구리와 리튬은 2035년까지 공급 부족이 불가피하며, 특히 구리는 기본 시나리오에서도 30%가량 부족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2040년까지 최소 5,000억 달러(STEPS 기준)의 신규 광산 및 정제설비 투자와 공급망 다변화가 필요하다.
■ 재자원화와 추적성 확보가 핵심 전략
보고서는 공급 리스크 완화를 위한 정책 대응으로 △재자원화 확대 △광물 추적성 강화 △투자 인센티브 제공을 제안했다. 특히 2040년까지 재자원화로 인해 리튬·코발트 등의 신규 채굴 수요를 20~35%까지 대체할 수 있으며, 이는 탄소배출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 [포커스] 중국 '핵심광물 수출 통제' 확대
- 핵심광물 공급망, 정부·공공기관·민간기업 협력 강화로 활로 모색
- 인도, 일본행 희토류 수출 중단 검토…중국 견제 속 ‘자국 우선’ 강화
- 인도, 희토류 보존 강화
- [포커스]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 정책 방향 관심 고조
- 중국 희토류 통제에 미 자동차 생산라인 위기
- IEA "2025년 에너지 투자 3.3조 달러"…전기화가 주도권 쥔다
- 미국 구리 50% 관세 부과 예고
- 엘앤에프-SK온 LFP 공급계약 체결
- 엘앤에프, LFP 신사업 진출 본격화
- 화경연, 차세대 배터리 소재 세미나 개최
- [분석] 트럼프, 구리 수입 50% 관세 부과 목적은?
- [이슈] 칠레, 구리 가격 전망 상향 조정
- 앵글로아메리칸 구리 생산 13% 급감
- ‘흑연도 디커플링’…미국, 중국산 배터리 소재에 고율 관세폭탄
- 핵심자원 추출 폐기물 보관 6배 연장
- [이슈] 국내 구리업계 초비상...대미 수출 큰 손실 불가피
- [분석]미국 구리 관세 면제 vs 알루미늄 고관세, 그 배경은?
-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양극재 42.6% 급성장... 한국 기업 입지 확대
- [초점] 미중 무역분쟁이 만든 기회: 인도 엡실론의 배터리 소재 시장 진출 분석
- 한국희토류산업협회 공식 출범
- [이슈] 中, 리튬배터리·인조다이아 수출통제 카드 꺼내
- [분석] 미중 희토류 전쟁, 가상자산 27조원 청산
- 호주, 美와 정상회담 앞두고 희토류 비축 계획 가속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