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올해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양극재 시장이 전년 동기 대비 42.6%의 폭발적 성장을 기록하며 전기차 산업의 급속한 확산을 보여줬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가 11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6월 전 세계 순수전기차(EV)·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하이브리드차(HEV)에 사용된 양극재 총 적재량은 110만 5,600톤으로 집계됐다. 특히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서도 26.0% 증가한 39만 9,000톤을 기록해 전 세계적인 전기차 보급 확산세를 입증했다.
양극재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소재로 전기차의 주행거리와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부품이다. 현재 시장은 상대적으로 고용량인 니켈·코발트·망간(NCM) 계열 삼원계 배터리와 저용량·고안전성의 리튬인산철(LFP) 양극재가 양대 축을 형성하고 있다.

글로벌 삼원계 양극재 적재량은 전년 동기 대비 15.1% 증가한 46만 5,800톤을 기록했다. 중국 롱바이와 LG화학이 각각 1위와 2위를 유지하는 가운데, 국내 기업인 엘앤에프, 에코프로, 포스코 등이 상위권에 진입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과시했다.
같은 기간 LFP 적재량은 전년 동기 대비 72.6% 급증한 63만 9,800톤을 기록하며, 전체 양극재 시장에서 약 58%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중국 내 보급형 전기차 시장 확대와 높은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LFP 선호도 증가,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채택 확산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LFP 시장에서는 중국 업체들의 독점이 더욱 공고해졌다. 후난위넝과 다이나노닉이 각각 16만 9,900톤, 8만 9,800톤으로 1위와 2위를 차지하며 시장을 주도했고, 상위 공급업체가 모두 중국 기업으로 구성되어 중국 중심의 글로벌 배터리 소재 공급망 구조가 더욱 강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미국이 중국산 배터리와 소재에 대한 고율 관세 정책을 지속하며 북미 공급망 재편을 압박하는 상황에서, 한국과 일본 등 중국 외 소재 업체들이 북미 시장 진출을 적극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NE리서치는 "양극재 시장은 중국의 기술 봉쇄와 미국, 유럽의 현지화 요구가 충돌하는 가운데, 안정적 생산역량과 기술력을 갖춘 한국 기업의 전략적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향후 공급 과잉보다는 기술 완성도와 글로벌 분산 생산 전략이 핵심 경쟁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급성장과 함께 양극재 수요도 폭증하고 있지만,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공급망 다변화 요구가 한국 기업들에게는 오히려 기회가 되고 있다"며 "기술력과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한국EMS협회, 2025년 제10회 BEMS 운영관리 자격검정 실시
- [분석] ESS, '전력 인프라 심장'으로...K-배터리의 제2 성장축 되나
- LG엔솔, 6조원 LFP 배터리 대형 수주
- 썬볼트, 김포 물류센터 대규모 확장
- 배터리 기업들, 전기차 둔화에 ESS로 눈 돌리다
- 엘앤에프, LFP 신사업 진출 본격화
- 리튬·구리 공급부족 예고…IEA, "수천억 달러 투자 시급"
- [분석]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3) - 한국과 해외 기업의 경쟁력 비교
- [분석]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2) - 각국의 정책에 따라 빠르게 변화
- [분석]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1) - 지속적인 성장세, 전고체 배터리 기대 커져
- [시장 전망] EV NMC 배터리, 2030년 708억 달러 규모로 고속 성장 예상
- 현대차·기아, K-배터리 3사와 전기차 안전 기술 강화 협력 본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