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미국이 중국에 러시아산 원유 수입 축소를 공식 요청하며, 에너지 공급이 미중 전략 경쟁의 새로운 전선으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은 8월8일까지(현지 시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종식을 위한 압박 수단의 일환으로 중국에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줄일 것을 강력히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이 문제를 무역 협상의 주요 이슈로 끌어올렸으며, 향후 중국이 수입을 지속할 경우 최대 100%의 대중(對中) 관세 부과 가능성까지 시사하고 있는 상황이다.
■ 미국의 목표는 ‘에너지 수익 차단’… 수십억 달러 자금 흐름 막기 의도
미국의 이번 압박은 러시아의 전쟁 자금 줄을 죄기 위한 정교한 에너지 제재 전략의 일환이다. 러시아는 2024년 기준으로 중국 전체 원유 수입의 약 20%를 공급 중이며, 블라디보스토크(극동) 항을 통한 동방 루트 공급 증가로 수출 경로 다변화에 성공한 상황이다.
미국은 러시아산 원유의 우회수출, 플래그 변경, 선박 추적 회피 등의 제재 회피 경로를 차단하려 했지만, 중국의 대규모 직수입 구조가 그대로 유지되며 실효성에 한계를 드러낸 상황이다. 따라서 이번에는 중국 자체에 대한 외교·통상 압박을 통해 수입량을 직접 줄이고자 하는 전략으로 선회한 것이다.
■ 중국의 강경 반발… “에너지 안보는 타협 대상 아냐”
중국은 이에 대해 즉각 반발했다. 중국 외교부는 “에너지 안보는 국가 주권의 문제이며, 미국의 압박은 통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특히 러시아산 원유는 중국의 전략 비축유 확대, 산업용 수요 대응, 가격경쟁력 확보에 있어 핵심 자원으로 간주되며, 미국의 일방적 요구는 내정 간섭에 가깝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중국은 향후 10월로 예상되는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소폭의 수입 조정 가능성을 열어두긴 했지만, 전략적 수준에서 수입구조를 흔들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 미·중 에너지 외교 전선 확대… 이란산 원유까지 압박 선회
미국은 이번 러시아산 원유 문제 외에도 중국의 이란산 원유 수입 중단도 함께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란 역시 제재 대상이자 반미 노선의 핵심 산유국으로, 중국은 현재 이란 원유를 할인된 가격에 지속 수입 중이다. 즉, 미국은 러시아–이란–중국 간 비서방 에너지 블록 형성을 견제하기 위한 다중 압박 전략에 돌입한 셈이다.
하지만 이런 압박은 중국의 에너지 안보·물가 안정·산업 생산과 직결되는 문제여서, 에너지 수입 다변화를 강요할수록 반작용만 키울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제기된다.
- 트럼프-시진핑 통화 긍정적 신호에 유가 상승 마감
- LNG 판도 흔드는 유럽과 중국…IEA, 2025년 ‘공급 불균형’ 경고
- [분석] 美中 관세 인하, 한국 경제에 긍정적 영향 예상
- 중국 CNOOC, 미국 대신 아부다비 LNG 선택
- 미국의 이란 신규 제재로 국제 유가 급등...주식 시장도 강한 반등세
- 사우디, 중국 겨냥 초강수…5월 원유 수출 35% 확대
- 아시아 6개국, 미중 무역전쟁 속 美 LNG로 '관세 방패' 만든다
- 러시아, 서방 가격상한제에 끝까지 맞선다…원유 수출 제한 2025년까지
- 脫러시아 외치며 LNG는 수입…EU 에너지 전략 '모순의 역설'
- EU, 러시아산 원유 가격상한 50달러로 인하 추진… G7에 공식 제안
- EU, 러시아 그림자 유조선 정조준… 제17차 제재 발동
- 러시아, 인도 수요 급감에 ‘유랄스 원유’ 중국에 할인 공급
- 러시아 원유 생산 구조적 한계 직면… 2030년까지 20% 감소 우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