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위한 금융역할강화 세미나 모습./탄녹위 제공
탄소중립 위한 금융역할강화 세미나 모습./탄녹위 제공

[투데이에너지 정재현 기자] 대통령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이하 탄녹위)와 한국금융연구원(이하 금융연)은 지난 15일 은행회관 국제회의실에서 ‘탄소중립을 위한 금융의 역할 강화’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대한민국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저탄소 경제로의 체계적인 전환 및 기후기술 육성 등 신성장 동력확보를 위한 금융의 역할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이병윤 금융연-탄녹위 녹색금융전문위원장은 기조 발제를 통해 글로벌 기후리스크 및 탄소중립 투자수요 현황과 기후갭 축소를 위한 글로벌 정책 동향을 소개하고 다양한 금융지원 방안을 제안했다.

탄소중립 위한 금융역할강화 세미나 모습./탄녹위 제공
탄소중립 위한 금융역할강화 세미나 모습./탄녹위 제공

 

먼저 탄소중립 투자에 있어 정책금융의 중요성과 EIB(유럽투자은행), UKIB(영국인프라은행), Kfw(독일재건은행) 등과 같은 주도적인 정책금융기관 및 체계적인 금융지원 전략의 필요성 등을 강조했고 다양한 기능과 형태를 가진 그린뱅크의 장단점도 제시했다.

또한 막대한 탄소중립 투자를 국가재정만으로 감당할 수 없는 기후변화 트릴레마(Trilemma. 3가지 딜레마를 뜻하며 어느 하나의 정책적 목표를 선택하면 나머지 2개의 목표는 이룰 수 없는 상황) 상황을 설명하면서 은행 등 민간금융회사의 적극적인 대응과 함께 중소기업 및 기후테크산업에 대한 지원 강화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와 함께 △그린 핀테크 챌린지(기존 핀테크 산업의 그린 전환) △그린홈 금융혁신기금(주택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녹색금융상품의 개발 지원) △프로젝트 제네시스(블록체인, 스마트계약, 사물인터넷, 디지털자산 결합으로 녹색금융 유도) 등과 같은 글로벌 탄소중립 혁신금융 사례를 공유하고 투자자 정보 확대 및 그린워싱 방지 등을 위한 기후공시제도의 성공적인 국내 정착과 우리나라의 고탄소 산업 구조에 따른 금융회사의 기후위험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탄소중립을 위한 각 나라들의 금융정책과 사례들을 통해 우리나라의 현실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과 함께 역할을 강화해 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논의들이 이뤄졌다.

김상협 탄녹위 위원장은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키플레이어 중 하나가 금융이며 금융이 저탄소 경제 전환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넘어 새로운 시장과 산업을 리딩하는 역할을 한다면 지금의 위기를 또 다른 도약의 기회로 바꿀 수 있다”며 “각계 전문가들이 함께 고민하는 이 자리가 대한민국의 탄소중립의 기폭제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항용 금융연 원장은 “기업들의 기후위기 대응 활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신성장 동력 산업으로 떠오르는 기후기술 발전을 위해 적절한 금융지원과 투자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고 벤 콜더컷 옥스포드 녹색금융 디렉터는 영상축사를 통해 “한국도 한국 상황에 맞는 그린 파이낸스 정책을 통해 녹색투자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내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