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정석현 기자]환경부는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유호)이 자생 담수식물인 뚜껑덩굴의 추출물이 항생제 내성을 유발하는 미생물의 생물막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효능이 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지난 2023년부터 '담수생물 소재 상용화를 위한 활용기술 고도화 연구'의 일환으로 황색포도상구균을 비롯한 생물막 형성 원인균으로 잘 알려진 균주들을 대상으로 뚜껑덩굴 추출물의 영향을 분석했다. 이 결과, 뚜껑덩굴 추출물이 식중독을 야기하는 황색포도상구균에서 50% 이상의 항균 활성과 함께 90% 이상의 생물막 형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뚜껑덩굴 추출물의 생물막 형성 억제 효능에 대한 특허출원을 올해 7월 완료했고, 항생물막 효능이 있는 유효 성분이 퀘르세틴(Quercetin)임을 최근 확인했다.

강태훈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이용기술개발실장은 "이번 연구로 담수식물의 생리활성을 깊이 있게 분석해 항생제 내성 완화 등의 응용 가치를 확인하는 계기였다"라며 "이번 성과는 우리가 직면한 보건 문제를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뚜껑덩굴 /환경부 제공
뚜껑덩굴 /환경부 제공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