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이성철 기자] 한국전력공사가 퇴직자 단체와 관련된 특정 업체에 일감을 몰아줬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허성무 더불어민주당 의원(경남 창원 성산구)실이 한전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한전이 퇴직자 단체인 한국전력전우회가 전체 지분을 보유한 ㈜JBC와 ㈜전우종합기술과 7,258억원을 수의계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계약 금액의 98.9%에 이른다.
도급액은 수의계약이 5,543억원(75.5%)로 가장 많았고 제한경쟁 1,577억원(21.5%), 일반경쟁 215억원(2.9%) 순으로 파악됐다.
한전이 허 의원실에 제출한 ‘2023년도 도서위탁운영 실적보고서’에 따르면 ㈜JBC는 자본금 32억 원 회사로 전력사업분야와 배전사업분야를 주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1987년 자본금 5,000만원으로 전우실업주식회사로 발족해 1995년 도서전력사업추진반을 발족시킨 후 도서 전력설비위탁 계약을 꾸준하게 확대해 왔다.
계약 방법별로 보면 수의계약이 5,543억원(75.5%)으로 가장 많고 제한경쟁 1,577억 원(21.5%), 일반경쟁 215억 원(2.9%) 순이다.
계약내용을 살펴보면 ‘자가발전도서 전력설비 위탁용역’이 매년 수의계약으로 이뤄졌으며 지난 10년간 총 계약금액이 5,543억 원으로 전체 계약금액의 75.5%를 차지했다.
해당 용역 계약은 2014년 471억원에서 2024년 640억원으로 10년 동안 36% 꾸준히 증가했다. 자가발전도서 전력설비 위탁용역을 통한 영업이익은 매년 30억~40억 원으로 이중 약 절반이 한국전력전우회에 배당으로 귀속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허 의원은 “한전이 국민에게 전력기금이란 준조세로 거둬 전력기금사업으로 셀프 징수·관리·집행한 결과가 자신들의 퇴직자 단체의 배를 불린 꼴”이라며 “수 십년의 수의계약이 자회사인 한전MCS 일거리 몰아주기로 무늬만 바뀐 것은 아닌지 이번 국감에서 면밀히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한편 감사원은 지난해 감사 보고서를 통해 한전에 도서전력설비 위탁운영 용역 계약을 수의계약에서 권역별 경쟁방식으로 개선하라고 통보한 바 있으며 2023년 국무조정실 정부 합동 부패예방추진단은 한전의 △발주청 수행업무 위탁△무등록 업무 위탁 △감사원 통지 의무 위반 등을 적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