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안후중 기자] 한국서부발전이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위해 발행한 녹색채권 3,200억 원을 LNG 발전소 건설에 사용한 배경에 윤석열 정권의 재무적 압박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장철민 의원(더불어민주당, 대전 동구)은 한국서부발전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 취임 직후 발전공기업들에 대한 ‘재무위험기관 선정’ 압박 때문에 재생에너지 투자를 위해 발행한 녹색채권을 LNG 발전에 투자했다고 14일 밝혔다.

윤석열 정부는 2022년 6월에 서부발전을 포함한 발전공기업들을 ‘재무위험기관’으로 선정했다. 이에 따라 발전공기업들은 사업 구조조정과 비핵심자산 매각 등을 하도록 압박받았다. 이로 인해 실제 발전공기업들의 녹색채권을 사용한 LNG 발전소 건설은 2022년에 급격히 증가했다.

장철민 의원실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중부발전을 제외한 발전공기업 4개사가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 자사 발행 녹색채권의 재생에너지 투자를 대폭 축소하고 LNG 발전 투자를 대폭 늘렸다.

특히 서부발전은 녹색채권 5,990억 원을 LNG 발전소 신설에 사용했고 같은 시기 녹색채권 신재생에너지 투자는 710억 원에 불과했다.

문재인 정권 당시에는 녹색채권을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연료전지발전에 사용하겠다고 공시했지만 정권교체 후에는 LNG 발전 투자로 변경했다.

기후단체인 기후솔루션은 서부발전이 재생에너지 투자 목적으로 발행한 녹색채권을 LNG 발전소 건설에 사용해 자본시장법을 위반했다며 금융감독원에 신고했다.

장 의원은 “발전공기업들이 재생에너지 투자를 줄이고 LNG 발전에 투자한 배경에는 윤석열 정부의 재무위험기관 선정 압박이 있었다”며 “발전공기업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재생에너지에 적극적으로 투자할 공적 책임이 있지만 윤석열 정부가 재무건전성을 강조하며 발전공기업들을 기후악당으로 만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