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한국RE100컨퍼런스에서 RE100 무역장벽 해법을 모색한다.
고려대학교 에너지·환경 기후기술인재양성센터, LINC 3.0 사업단, 한국RE100협의체가 주최하는 국내 최대의 기후 위기 및 통상 대응을 위한 'RE100컨퍼런스'가 10월 25일 양재 aT센터에서 개최된다.
기후 위기에 따른 탄소 감축 이슈가 공공의 영역을 넘어 기업들의 비즈니스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더욱 강해지고 있다.
글로벌 빅테크기업들은 이미 재생에너지 100% 사용 캠페인인 RE100 이행을 완료하고 탄소중립 및 탄소 네거티브로 전환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애플은 2018년 RE100 달성, 203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모든 공급망에 탄소중립과 RE100을 요구하고 있다.
구글도 2017년 RE100을 달성했으며 2030년까지 완전 무탄소 경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포함한 주요 공급사에 2029년까지 RE100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IT 빅테크 기업을 넘어 전력 사용이 많은 제조기업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특히 BMW, 볼보, 현대자동차 같은 자동차 기업들에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BMW는 지난 2022년에 재생에너지 98% 사용에 도달했다.
국가별로 시행되고 있는 탄소 규제도 당장 내년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2025년에 시행된 미국의 청정경쟁법(CCA), 2026년에 패널티 부과가 시작되는 유럽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와 지난 6월에 최종 승인되어 기업 공급망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과 인권 문제 예방을 목표로 실사를 의무화하는 공급망 실사법(CSDDD)도 우리 기업들의 운신의 폭을 옥죄어오고 있다.
이번 컨퍼런스는 이러한 국제 탄소중립 및 RE100 동향 등 글로벌 기후 위기와 통상환경 변화를 체크하고 국내 기업들의 대응 방안을 공유하는 자리다.
컨퍼런스에서는 네이버, 아마존 등 국내외를 대표하는 빅테크 기업들의 ESG 경영 추진 현황과 RE100 이슈와 정부에 바라는 점 등이 발표될 예정이다.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 제조사엘엔에프는 글로벌 전기차의 배터리 규제 및 RE100 이슈 등 통상 이슈에 대해 발표한다.
한화큐셀, GS풍력발전, 루트에너지, 피크에너지코리아 등 재생에너지 기업들은 현재 국내 재생에너지 시장의 이슈와 함께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 활성화 방안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S&P글로벌에서는 국내외 재생에너지 시장 동향 및 전망에 대해 한국에너지공단에서 RE100 활성화를 위한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 정책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한국RE100협의체 정택중 의장은 “RE100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국내기업들의 현안으로, 재생에너지 보급과 기업 지원을 위한 특단의 조처가 필요하다”며 “이번 RE100컨퍼런스를 통해 국내외 현황 및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업급했다.
등록은 02-2088-6488로 문의하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