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정석현 기자] 환경부는 소상공인 배달용 내연이륜차를 전기이륜차로 하루빨리 전환하기 위해 힘을 모은다. 저소음 등 친환경 배달 문화를 정착돼고 국가 탄소중립 달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는 서울시와 함께 서울시청에서 소상공인의 친환경 배송 촉진을 위한 ‘소상공인 전기이륜차 보급 확대 업무협약식’을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이 협약은 △환경부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대문구  △소상공인연합회 △LG 에너지솔루션 △대동모빌리티 △케이알모터스 등 총 8개 기관이 참여해 전기이륜차 보급 촉진을 통한 탄소중립과 소상공인의 안전한 배달 환경 조성에 협력한다.​

환경부는 소상공인의 구매지원을 강화하고 국가표준형 전기이륜차와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이 보급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종로구, 동대문구, 소상공인연합회는 전기이륜차 보급 사업 홍보 및 안전 운행을 위한 교육을 지원한다. 

LG 에너지솔루션, 대동모빌리티, 케이알모터스는 소상공인의 전기이륜차 구매를 비롯해 국가표준형 전기이륜차와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이 적기에 보급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아울러 환경부와 서울시 등 지자체는 화재예방 등 안전한 전기이륜차 운행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을 모색한다. 기업에서는 화재에 안전한 전기이륜차와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보급을 위한 기술개발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한편 서울시는 2026년까지 내연이륜차 대비 전기이륜차 비중을 20%까지 확대하며 이 협약을 통해 전기이륜차 보급을 가속화 할 계획이다.

이병화 환경부 차관은 “전기이륜차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정부, 지자체, 업계 간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라며 “이날 협약을 계기로 재래시장과 골목상권에서 전기이륜차 운행이 늘고 소상공인 사이에서 전기이륜차 구매 관심이 높아지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