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균 기자 pcg@tenews.kr
▲박찬균 기자 pcg@tenews.kr

 

[투데이에너지 박찬균 기자] 2022년 윤석열 정권이 들어서면서 에너지 정책의 큰 변화로 전 정권의 신재생 위주 정책을 줄이고 원전 위주의 정책을 펴겠다는 기조를 밝혔다.

에너지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국내 사정상 어느 것이 정답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정권에 따라 정책이 오락가락해서는 안 될 일이라고 본다.

이러한 상황은 비단 국내에서만 나타나는 상황이 아닌 듯하다.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 당선으로 4년 전 바이든 대통령 당선 이후 세계적으로 불었던 친환경, ESG 바람이 급격히 사그라질 것이라는 관측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펜실베이니아 등 경합 주 대부분을 트럼프 후보가 휩쓴 가운데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중단됐던 셰일가스 시추와 파이프라인 건설 등도 속도를 내면서 미국의 석유·가스 생산량이 급증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최근 들어 급증한 미국의 한국에 대한 무역적자 해소 차원 에서 우리나라가 미국산 LNG(액화천연가스), LPG(액화석유가스) 수입을 늘릴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앞서 미 블룸버그도 트럼프 후보가 당선되면 석유·가스 확대를 검토한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올해 말로 대규모 LNG 물량 도입 계약이 끝나는 상황에서 미국산 LNG에 대한 중·단기 계약을 통해 수급난을 없앨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원유는 정유사별 설비 최적화와 같은 문제가 있어 갑자기 수입처를 바꾸기가 쉽지 않지만 LNG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서도 LNG 발전 비중을 높여가고 있다는 점에 서도 긍정적인 전망이 아닐 수 없다.

여기서 시사하는 점은 한국이나 미국이나 에너지 정책은 정권이 바뀌더라도 일관성 있게 추진돼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의 오락가락 원전정책이나 미국의 LNG 수출에 대한 축소와 확대가 반복돼서는 가뜩이나 예측이 어려운 에너지 정책의 일관성은 요원해진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