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 정부는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상용화 입찰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는 22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최남호 제2차관 주재로 ‘해상풍력 활성화 업계 간담회’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는 공공개발사, 제조기업, 해상풍력 설치선 기업 등 다양한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공공의 역량 제고와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방안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다.

최근 국내 해상풍력 시장은 지난해 경쟁입찰에서 1.9GW가 선정되는 등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사업별 규모도 평균 300MW를 초과하여 대형화되고 있다.

그러나 발전공기업은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RPS) 제도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의 재생에너지 공급 의무를 이행해야 하지만, 대규모 해상풍력 사업은 자본 조달 능력과 개발 경험이 요구되어 공공의 의무 이행을 촉진하기 위한 경쟁력 강화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부는 지난해 8월 발표한 ‘해상풍력 경쟁입찰 로드맵’에 따라 공공이 주도하는 별도의 입찰 경로를 올해 추가하기로 했으며 이날 간담회에서는 지난 입찰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주도형 입찰 추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향후 다양한 전문가 및 업계의 의견을 수렴하여 3월까지 추진 방안을 마련하고 정부의 연구개발(R&D) 성과물이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도 함께 포함하기로 했다.

또한 해상풍력 설치선(WTIV)은 해상풍력 건설 및 유지·관리를 위한 핵심 인프라로 해상풍력의 보급 확대에 대비하여 대형 설치선이 적기에 공급되고 운영될 수 있도록 추진 동향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산업 및 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원 방안도 모색할 예정이다.

최남호 2차관은 “에너지 안보 강화와 미래 에너지 시장 선점을 위해 공공이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한 역할과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지속 가능한 무탄소 에너지 확산을 위해서는 풍력 개발·제조 경쟁력과 함께 선박·항만 등 인프라를 아우르는 산업 생태계가 구축되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