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우리 자동차 산업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기회를 창출하기 위한 노력이 본격화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23일 오전 10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자동차 민관 대미협력 TF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는 산업부 제조산업정책관, 한국모빌리티산업협회,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현대자동차, 한국지엠, 산업연구원, 한국자동차연구원 등 다양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회의는 20일(미 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사와 행정명령을 통해 발표된 정책 방향 중 우리 자동차 업계에 영향을 미칠 내용을 분석하고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해당 TF는 지난해 11월 산업부 장관 주재의 ‘자동차 업계 영향 점검회의’ 이후 구성되어 미국의 정책 변화에 긴밀히 대비해왔다.

미측 행정명령에는 ▲완화된 자동차 환경규제 도입 ▲IRA 전기차 보조금 폐지 등의 정책이 포함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 관련 행정명령으로는 미국 에너지 생산 확대, 미국 우선 무역정책, 바이든 행정부 행정명령 철회 등이 언급됐다.

회의 참석자들은 미측 행정명령이 실제 실행되기까지 다소간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정책이 구체화될 경우 우리 자동차 산업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정책 입안 초기 단계에서 미측에 우리 입장을 적극적으로 피력하고 정보 공유를 통해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박동일 산업부 제조산업정책관은 “앞으로도 미측 동향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업계와 긴밀히 소통할 예정이며, 풍랑 속에서도 우리 업계가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회의를 통해 한국 자동차 산업이 미국의 정책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