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룬 반 호프 PwC글로벌 에너지 유틸리티 앤 리소스 리더/삼일PwC 제공
예룬 반 호프 PwC글로벌 에너지 유틸리티 앤 리소스 리더/삼일PwC 제공

 

[투데이에너지 이상석 기자]영국의 회계·경영컨설팅 업체인 PwC글로벌의 한 분석가가 트럼프 2기의 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해 "태양광처럼 이미 경제성을 갖춘 재생에너지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21일  삼일PwC의 서울 본사에서 '트럼프 2.0, 글로벌 환경 변화에 따른 한국 에너지 시장 전망과 기업들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한 세미나가 열려 PwC글로벌과 삼일PwC, PwC컨설팅의 에너지 분야 전문가와 산업통상자원부, 전력거래소 관계자 등이 참석해 글로벌 탈탄소화와 에너지 전환의 방향성을 전망하고 한국 에너지 정책 및 시장의 변화 방향, 국내 기업의 대응 전략 등을 논의했다. 세미나는 현장 및 온라인 생중계로 동시에 진행됐으며 기업 관계자 600여 명이 참석했다.

기조 발제를 맡은 예룬 반 호프 PwC글로벌 에너지 유틸리티 앤 리소스(EU&R) 리더는 트럼프 2기 이후 재생에너지 성장이 주춤할 것이라는 예상에 대해 "지역별, 전원별로 단기적 영향을 받을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며 "특히 태양광처럼 이미 궤도에 오른 재생에너지 섹터에 대한 파장은 미미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첫번째 세션에서 닐로우파 몰라비 PwC글로벌 오일 앤 가스 리더는 "바이든 정부에서 도입된 환경 규제가 사라지며 석유 및 가스 생산이 늘어나겠지만 이것이 공급 가격에 영향을 미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며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세액공제 또한 일자리와 투자, 에너지 원천 개발에 영향을 줬기 때문에 전면 폐지보다 일부 사라지거나 기준이 강화되는 쪽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이어 김일한 산업통상자원부 사무관은 국내 에너지 정책 가운데 ‘수소경제 정책 현황 및 계획’을 중심으로 발표했다. 김 사무관은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의 에너지 정책 개편의 일환으로 천연가스 생산과 수출을 확대할 계획으로 알려지면서 천연가스 개질 및 탄소포집∙저장(CCS)을 통해 생산되는 블루수소의 수급 변동 등 전 세계 청정수소 시장에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세 번째 발표자로 나선 유원석 PwC컨설팅 파트너는 국내 기업의 대응 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유 파트너는 트럼프 행정부 정책 기조에 따른 친환경 및 전통 에너지 산업의 위협과 기회를 언급하면서 “블루수소, 원자력, 태양광 등은 유지되겠지만 상대적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해상풍력이나 그린수소는 타격이 있을 것”이라며 “미국 셰일가스 증산이 즉각 시행되면 미국내 가격이 떨어져 장기적으로 글로벌 에너지 시장도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국내 기업의 전략적 방향성으로 “트럼프 집권 초기의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보다 법안 제∙개정시 발생하는 정책 시차를 고려해 유연하게 대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두번째 세션에서  옥기열 전력거래소 본부장은 ‘한국 전력시장의 변화 전망’에 대해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대대적인 전력시장제도 개편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뒤이어 ‘국내 기업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서용태 삼일PwC 파트너는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성장과 동시에 전력부하 및 출력 변동성 증가에 따른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이 동반 성장할 것”이라는 예상을 내놨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