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 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는 "한 번의 시추 결과로 경제성을 단정할 수 없다"며 지속적인 시추와 분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동해 지역은 이미 유가스가 확인된 곳으로, 두꺼운 덮개암과 양질의 사암층이 발견되어 유가스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동해 울릉분지에 위치한 대왕고래구조에 대한 1차 시추를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석유공사는 이번 시추 결과를 통해 동해심해가스전사업 전체의 경제성을 판단하기에는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석유공사는 지난 6일 산업통상자원부의 브리핑에서 가스징후가 일부 확인됐으나, 그 규모는 경제성을 확보할 수준에 미치지 않았다고 전했다.
정확한 시추 결과는 5~6월경에 발표될 예정이며, 이번 결과가 전체 유망구조에 대한 판단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 설명했다.
나머지 6개의 유망구조와 추가 평가를 통해 경제성이 있는 탐사 성공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석유공사는 유망성 평가 과정에서 발견된 양질의 사암층과 유기물을 포함한 셰일층이 동해분지에서 석유가스전의 존재 가능성을 확인시켜줬다고 강조했다.
또한, 석유공사는 지난해 7월부터 글로벌 석유메이저사를 포함한 국내외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투자유치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입찰절차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투자자들은 7개 유망구조의 유망성을 자체 기준으로 평가하여 입찰에 참여할 것이며, 이번 시추 결과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석유공사는 심해탐사공 시추에 많은 투자가 필요하지만, 이를 통해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탐사전략을 보정하고, 글로벌 기업으로부터의 투자 유치를 통해 탐사 리스크를 줄여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서 "세계 에너지시장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우리 영토 및 영해에서 유가스전을 확보하여 국가 에너지안보를 강화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번 시추 결과에 대한 보도에서는 사업 전체의 경제성이 없는 것처럼 비춰지지 않도록 주의해줄 것을 당부했다. 석유공사는 지속적인 노력으로 국민의 삶이 더욱 나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