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국 기자
김은국 기자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국제 원유 시장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최근 미국과 러시아 간 회담을 비롯한 외교적 움직임이 활발해지면서 일부 시장에서는 러시아의 석유 공급 증가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난다고 해서 러시아의 원유 공급이 자동으로 증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한다.

러시아는 현재 OPEC+의 감산 정책에 동참하고 있으며, 자체적으로 부과한 생산 쿼터를 준수해야 한다. 전쟁이 종식되더라도 즉각적인 원유 증산은 어려운 상황이다.

OPEC+는 2023년부터 감산 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오는 4월 감산 완화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지정학적 변수와 미국의 외교 정책 불확실성 속에서 감산 완화 결정이 다시 연기될 가능성이 높다.

러시아 입장에서도 감산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경제 제재로 인해 서방 주요 시장이 막힌 상태에서 중국, 인도 등 우회 경로를 통한 수출이 지속되고 있지만, 공급량을 급격히 늘릴 경우 유가 하락으로 수익성이 악화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러시아는 단기간 내 석유 공급을 크게 늘리기보다는 OPEC+의 정책 기조를 따르며 전략적 대응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날 경우 서방의 러시아 제재가 완화될 가능성을 제기하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은 러시아의 원유 수출에 대해 가격 상한제를 비롯한 다양한 제재를 가하고 있으며, 전쟁 종식 여부와 관계없이 이러한 조치가 즉시 철회될 가능성은 낮다. 

에너지 수입국인 한국은 이러한 지정학적 변화를 실시간 면밀히 분석, 원유 수급 다변화 및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한 대응체계에 선제적으로 반영해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