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국 기자
김은국 기자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가스공사의 당진 LNG 터미널 확장사업이 수요 감소 전망과 탄소중립 정책 속에서도 강행되며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2조원대의 대규모 투자에 대한 경제성, 환경적 타당성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환경단체들은 국내 LNG 수요가 2036년까지 1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는데도, 가스 공사가 터미널 확장을 강행한다고 비판한다.

국제에너지기구(IEA) 또한 전세계 LNG 수요감소를 예측한 만큼, 인프라 확장이 좌초 자산이 될 위험이 크다는 것이다.

반면, 가스공사는 에너지 안보와 수급 안정성을 고려한 필수 투자라고 반박한다. 민간 직수입자와 공동 이용을 통해 가스 도입 비용을 절감하고, 도시가스 요금인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환경단체들은 기존 저장시설로도 겨울철 최대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며, 불필요한 투자로 국가 재정 부담만 커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특히, LNG 발전 비중이 줄어들고 탄소중립 목표가 강화되는 가운데, 신규 인프라 확장이 장기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가스공사의 논리도 일리가 있다. 글로벌 에너지 시장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국내 저장시설 확충은 필요할 수 있다. 다만, LNG 인프라 확장과 함께 탄소 포집·저장(CCUS) 기술과 연계한 지속가능한 활용 방안이 모색 되어야 할 것이다.

LNG 터미널 확장이 단기적 에너지 안보 전략인지, 장기적 부담이 될 투자인지 철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