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한국환경공단(공단)은 기후테크 스타트업 ‘수퍼빈(주)’와 협력해 고품질 플라스틱 재생원료 생산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정부의 무색 페트병 별도 배출 제도를 지원하고 재생원료 사용을 적극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환경공단에 따르면, 이번 협약에 따라 공단은 무색 페트병의 고품질 회수 및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제도 교육을 제공하며 무색 페트병 별도 배출 활성화를 위한 무인회수기 운영 성과 등을 적극 홍보, 지원할 예정이다.
또 수퍼빈은 무인회수기 기술 고도화와 보급 확대를 통해 무색 페트병 회수 효율을 높이고 식품용기에 사용되는 고품질 재생원료 생산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이로써 고품질 재생원료는 의류나 식품용기 포장재 제조 시 원료로 사용되며, 이는 화석 원료 사용 감소로 이어져 순환경제 실현에 기여하게 된다. 기후변화 대응 및 자원 재활용을 위한 지속가능한 방법이 실현되는 것이다.
글로벌 환경 보호 흐름에 맞춰 유럽연합(EU)은 올해부터 식품용 페트병 제조 시 재생원료 사용기준을 25%로 의무화했다. 2030년까지 이 비율을 30%로 늘릴 계획이다.
우리나라 역시 2026년부터 플라스틱 재생원료 의무 사용 대상을 생수 산업 등으로 확대하고 30% 재생원료 사용 기준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는 EU와 동일한 기준으로, 국내 플라스틱 재활용을 더욱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임상준 이사장은 “탄소중립과 순환경제 전환의 중요한 시점에서 기후테크는 환경과 경제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게임체인저”라며 “수퍼빈과 같은 기후테크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공단 차원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환경公, ‘온실가스관리 전문인력’ 교육생 모집
- 환경公, 미래전략 ‘그린 리부트 TF’ 띄운다
- 환경부,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공모 설명회
- 환경公, 대한주택관리사협회 서울시회와 MOU
- 환경公, ‘인구문제 인식개선 릴레이’ 캠페인 참여
- 환경公, ‘제19회 순환경제 선도기업 대상’ 공모
- 환경公, ISO14001 환경경영시스템 인증 취득
- 환경公, 네이버와 ‘재활용품 수거 거점 위치정보’ MOU
- 환경公, ‘기후‧대기 정책 포럼’ 정례화...기후·대기 현안 논의
- 환경公, 전기차배터리 성능평가 1시간으로 단축
- 환경公, 폐배터리 재활용분야 핵심 전문인력양성
- [기획 특집] 기후위기 맞서는 혁신 기후테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