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가 아시아 내 새로운 원유 공급국이 등장할 경우 한국의 중동·미국 의존 완화 가능성이 있다. /이미지 편집
인도가 아시아 내 새로운 원유 공급국이 등장할 경우 한국의 중동·미국 의존 완화 가능성이 있다. /이미지 편집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인도가 본격적인 석유 생산국 전환을 위한 '지하 자원 대전'을 시작했다. 3월25일자 캐나다 경제전문 매체 베이스트리트(Baystreet)에 따르면, 인도는 총 1000억달러(약 134조원) 규모의 석유·가스 탐사 및 생산(E&P) 투자 계획을 추진 중이다.

S&P 글로벌 코모디티 인사이트(S&P Global Commodity Insights)는 인도 내 4개의 미개발 분지, 즉 마하나디(Mahanadi), 안다만 해(Andaman Sea), 벵골만(Bengal), 케랄라-콘칸(Kerala-Konkan) 지역에 최대 220억 배럴 규모의 석유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 퍼미안 분지(Permian Basin)의 생산량을 뛰어넘는 수준이다.

​인도 석유부는 2025년까지 탐사 대상 면적을 전체 분지의 10%에서 16%로 확대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열린 광구 면허제(Open Acreage Licensing Policy, OALP)'를 적극 도입했다. OALP는 민간 및 국영 기업들이 연중 언제든 자율적으로 탐사 관심 지역을 제안하고, 연 3회 공개 입찰을 통해 블록을 배정하는 유연한 방식이다. 현재까지 총 144개 블록, 약 24만4000㎢가 배정됐다.

국영 에너지기업 ONGC와 OIL은 크리슈나-고다바리(Krishna-Godavari) 분지 등 심해 광구에서 100억 달러 이상을 투자 중이며, 영국의 BP와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Reliance Industries)의 합작사도 이 지역 심해 유전에서 생산을 시작하고 있다. 이들은 인도 전역에 1900개의 주유소 네트워크도 운영 중이다.

피치 솔루션즈(Fitch Solutions)의 선임연구원 엠마 리차즈(Emma Richards)는 “앞으로 10년 내 글로벌 석유 수요 성장의 중심축이 중국에서 인도로 이동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의 석유 수요 성장률: 50% → 15%로 급감하고 인도의 석유 수요 비중: 12% → 24%로 두 배 상승한다는 것이다. 

인도는 전기차·신재생 보급률이 낮고, 인구는 이미 중국을 추월한 것으로 관측돼 수요 지속이 유력하다 현재 인도는 원유의 87%를 수입하고 있으며, 수입 대상국은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UAE, 미국 등이다. 하지만 환율 부담, 무역적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 등 대외 요인에 따라 국내 생산 확대는 국가 전략으로 격상됐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