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오는 4월1일,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키티맷(Kitimat)에 위치한 LNG 캐나다(LNG Canada) 플랜트에 첫 번째 LNG 탱커 마란 가스 록사나(Maran Gas Roxana) 호가 도착한다. 이는 본격적인 냉각(cooldown) 작업의 시작이자, 캐나다 최초의 액화천연가스 수출시설 가동을 위한 마지막 단계다.
냉각 작업은 3~4주가 소요되며, 플랜트의 기계 부품이 수축·팽창하는 LNG 환경에 안전하게 적응하는지를 점검하는 과정이다. 이 단계가 완료되면 LNG 캐나다는 연간 1,400만 톤(MTPA, million tonnes per annum)의 수출 능력을 갖추게 된다.
현재 캐나다는 천연가스의 사실상 전량을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캐나다의 가스 수출은 일일 8.6억 입방피트(bcfd, billion cubic feet per day)로, 1년 전보다 증가했다.
그러나 LNG 캐나다가 가동되면 캐나다산 가스는 더 이상 미국을 거치지 않고 직접 세계 시장으로 수출될 수 있게 된다. 업계 트레이더들은 “LNG 캐나다가 상업 가동에 들어가면 미국으로의 가스 흐름이 줄어들고, 아시아 및 유럽향 직접 수출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LNG 캐나다는 쉘(Shell), 페트로나스(Petronas), 페트로차이나(PetroChina), 미쓰비시(Mitsubishi Corporation), 한국가스공사(KOGAS)가 참여한 대형 합작 프로젝트다. 이는 북미 LNG 공급 지형에 새로운 변화를 불러올 수 있는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아시아 LNG 시장은 카타르산 장기계약 물량이 주도하고 있으며, 현물가격이 소폭 상승 중이지만 여전히 안정세다. 인도는 폭염 예보로 냉방 수요가 늘 가능성이 있으나, 가격 부담은 여전하다. 중국은 미국산 LNG에 부과된 15% 관세 여파로, 대체 공급원을 물색 중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LNG 캐나다는 미국·카타르 외의 신규 공급처로써 아시아 진출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 특히 한국가스공사(KOGAS)가 참여하고 있는 만큼, 한국 시장과의 직거래 가능성도 커질 전망이다.
이와 함께 알래스카 LNG(Alaska LNG) 프로젝트 역시 최근 본격 추진 중이다. 알래스카 LNG는 2020년 미국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FERC) 승인 이후 추진이 지연되어 왔으나, 최근 미국 내 에너지 정책 변화와 함께 신규 수출 창구로 재부각되고 있다.
LNG 캐나다와 알래스카 LNG는 모두 북미 북서부에서 아시아로 직통 수출이 가능한 지리적 이점을 가진다. 이는 미국 걸프코스트(Gulf Coast) 기반의 수출보다 운송거리와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며, 기후 변화에 따른 북극 항로 활용 가능성도 일부 논의되고 있다.
한편 유럽은 겨울철 가스 소비가 예년보다 적어, 현재 저장고 충전율이 34% 수준이다. 이는 향후 몇 개월간 재고 재충전(injection) 수요가 본격화됨을 의미한다. ICIS(Independent Commodity Intelligence Services)는 "유럽이 여름철에 아시아와 LNG 확보 경쟁을 벌이며 일부 신규 수입국은 밀려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LNG 캐나다의 본격 가동과 알래스카 LNG의 재부상은 그동안 미국이 주도하던 북미 LNG 수출 구조에 균열을 예고한다. 캐나다는 미국에 대한 에너지 수출 의존도를 낮추고, 직접 수출을 통해 글로벌 LNG 공급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준비를 마쳤다.
- 석유 시장 변화 예고…미국·카자흐스탄 공급 증가, OPEC+ 감산 완화
- 美·加 에너지 전쟁 조짐… 온타리오, 전력 공급 차단 가능성 시사
- 트럼프發 관세 충격…멕시코, 아시아와 손잡고 원유시장 재편 노린다
- LNG 수요 지형도 변화…북미는 확대, 유럽·아시아는 감축 기조
- 加 철도사, 올해 수소 엔진 시험 기관차 2배 증설
- [이슈]"지금이 기회다"…캐나다 에너지 수출, 국가 전략으로 격상되나
- "수입국에서 자원국으로"…인도, 1000억 달러 석유 투자 본격화
- 세계 최대 LNG 트레이더 셸, “화석연료 축소는 무책임”
- ‘알래스카 LNG사업’ 참여, “막대한 국가경제 부담” 경고
- 2050년 중동 LNG 수출 2억톤 돌파 전망…"카타르가 판을 바꾼다"
- 대만, 알래스카 LNG 투자 전격 합의…"안정적 수송·에너지 안보 동시 확보"
- 미 천연가스 가격 급락…"재고 증가·날씨 따뜻해진다"
- "관세가 기후를 망친다"…트럼프發 무역전쟁, 에너지 전환 '비상등'
- 미국 관세에 등 돌린 캐나다, 에너지 수출지도 새로 그린다
- 美 가스 기반 멕시코 LNG 수출 붐…북미 소비자 요금폭탄 경고음
- 미국 LNG 수출 확장, 가동 시점이 운명 가른다
- 미국 LNG 수출 불확실성, 국내 수입시장 '비상등'
- 미국 LNG 변수, 국내 수입사 조달 전략 시험대
- 노르웨이 가스 공급 재개에도 유럽시장 '불안'
- 알래스카 LNG, 환경단체 소송 기각…美 LNG 수출 확대에 ‘청신호’
- 미국 천연가스 생산 정체…퍼미안(Permian)만 웃었다
- AI 시대, 미국 전력수요 폭증…"천연가스·재생에너지 모두 필요하다"
- 커먼웰스LNG, 아시아 기업과 20년 공급계약 체결
- "그린이냐 블루냐"…수소엑스포서 드러난 캐나다 에너지의 딜레마
- 캐나다의 대서양 LNG 프로젝트, 갈수록 좁아지는 기회의 창
- 아시아 LNG 수입 ‘봄철 정체기’ 진입…미국산 전환 가속화 조짐
- 캐나다 첫 LNG 생산 눈앞… 태평양 직수출 시대 열린다
- LNG 캐나다, 첫 LNG 생산 개시…태평양 직결 수출 시대 열려
- 캐나다 LNG, 첫 아시아행 출항…LNG Canada 상업화 신호탄
- 캐나다, 첫 LNG 아시아 수출…미국 의존 탈피 본격화
- 캐나다 천연가스, 7년간 수요 강세 전망…가격 반등 본격화
- [단독] 캐나다 LNG 첫 아시아 수출선, 통영에 닻 내리다
- 세계 5위 천연가스 생산국 캐나다, 'LNG 해상 수출' 전환 가속
- 캐나다, 독일과 LNG 스왑 협상…태평양 물량이 유럽행으로
- 캐나다 Woodfibre LNG, 공정률 50% 돌파
- 캐나다 뉴브런즈윅 주정부, LNG 파이프라인 구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