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가 미국 대신 유럽·아시아로 수출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이미지 편집 
캐나다가 미국 대신 유럽·아시아로 수출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이미지 편집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오는 4월 28일 캐나다 연방 하원 총선을 앞두고, 에너지 인프라 확장과 수출시장 다변화가 주요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25% 수입 관세 부과가 현실화되면서, 전통적으로 미국에 집중되었던 캐나다 석유·가스 수출구조에 대한 전면 재편이 정치권 안팎에서 빠르게 논의되고 있다.

자유당과 보수당은 각각의 접근 방식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파이프라인 재건과 신규 수출 시장 개척을 핵심 에너지 전략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현재 캐나다 원유 수출의 약 99%가 미국에 집중되어 있는 가운데, 미국이 자국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25%의 수입 관세를 부과하자 캐나다 정치권은 이를 “불공정한 무역조치”로 규정하며 대응 방안을 모색 중이다. 이에 따라 유럽과 아시아가 새로운 전략적 수출지로 부상하고 있으며, 석유생산자협회도 “가장 효율적인 수출은 가까운 시장에서 정제하는 것”이라며 다변화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자유당은 기존 인프라의 신속한 확장을 강조하며, 앨버타(Alberta) 지역 중심으로 정부 주도의 주요 프로젝트 추진을 공언하고 있다. 반면 보수당은 트뤼도 정부 집권기 중단됐던 초대형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2건(East Pipeline, Northern Gateway)을 부활시키겠다는 강수를 던졌다. 동시에, ‘캐나다 굴착 준비 구역(Canadian Drilling Ready Zone)’을 설정하겠다는 공약도 내놓아 자원 개발 중심의 대규모 계획을 추진 중이다.

이번 총선은 단기적 정치 이벤트를 넘어, 캐나다의 중장기 에너지 전략 방향을 결정짓는 분수령이 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 에너지 지정학 불안정성, 기후변화 압박 속에서 캐나다는 기존의 대미 의존 구조에서 벗어나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균형자로서 입지를 다지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인프라 개발과 수출시장 전략이 정권에 따라 어떤 속도와 방식으로 추진될지가 핵심 관전 포인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