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미국이 국제기후협약과 탈석탄 파트너십에서 발을 뺐지만, 인도네시아는 20억 달러 규모의 에너지 전환 계획을 흔들림 없이 추진 중이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 석탄 수출국이자 자국 발전의 60% 이상을 석탄에 의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 파트너십(JETP, Just Energy Transition Partnership)’을 통해 탈석탄을 본격화하고 있다.
JETP는 2022년 말, 인도네시아가 미국·일본 공동주도로 체결한 다자간 청정에너지 전환 파트너십이다. 유럽연합(EU),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노르웨이, 캐나다, 영국, 덴마크 등도 참여했다. 그러나 최근 미국이 파리기후협정과 함께 국제 파트너십에서 탈퇴하면서, JETP 추진 동력에도 차질이 우려됐다.
하지만 인도네시아 경제조정장관 에어랑가 하르타르토(Airlangga Hartarto)는 “미국의 이탈에도 불구하고, 일본과 독일이 공동 주도국으로 새롭게 나서고 있으며, 나머지 9개국의 지원 의지도 확고하다”고 밝혔다. 그는 블룸버그를 통해 “이미 국제개발은행(MDB)을 통한 보증금액 10억 달러를 확보했다”고도 덧붙였다.
현재까지 인도네시아 내 54개 청정에너지 프로젝트가 국제자금(대출·지분투자·보조금 등) 약 11억 달러를 확보했으며, 이는 향후 탄소배출 감축과 신재생에너지 확대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프라보워 수비안토(Prabowo Subianto)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15년 내 석탄 및 모든 화석연료 기반 발전소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겠다고 밝히며 강력한 전환 의지를 강조했다. 인도네시아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지열(Geothermal)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포함한 재생에너지 확대가 탈석탄의 핵심 카드다.
인도네시아 사례는 기후재정(Global Climate Finance)이 미국 중심에서 다극화되는 흐름, 그리고 신흥국 스스로 에너지 전환을 주도할 수 있다는 국제 정책 시사점을 동시에 보여준다. 향후 JETP 모델은 베트남, 남아공 등 다른 개발도상국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 용어 설명 :
·기후자금(Climate Finance)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 제공하는 자금. 구체적으로 △온실가스 감축(감축·mitigation) △기후변화 적응(adaptation) △에너지 전환 등을 지원하기 위해 공공 또는 민간 부문에서 보조금, 대출, 지분투자, 보증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파리기후협정에 따라 선진국이 매년 최소 1000억 달러를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즉, 기후자금은 에너지 격차를 줄이고, 전 세계가 함께 탈탄소 목표에 접근하도록 만드는 ‘국제 연대의 실질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 중부발전, 인도네시아에서 국내 중소기업 해외 동반진출 확대
- 중부발전, 인도네시아 초등학교에 통학버스 기증
- 중부발전, 인도네시아 전력시장 진출 본격화
- "트럼프 관세 피하자"…베트남, 美산 LNG·車 관세 인하·스타링크 허용
- 도쿄가스, 순이익 두 배·1조 투자 선언…美 셰일가스가 수익축
- 인도, 원유 수입의존도 88.2% '역대 최고'…자급률 12%도 안돼
- "말잔치였나" 유럽 에너지 메이저들, 기후 공약 후퇴
- 정부, 재생에너지 확대 드라이브…LNG는 '그림자 속 조정'
- 미국 관세에 등 돌린 캐나다, 에너지 수출지도 새로 그린다
- "보조금이 발목 잡는다"…인도네시아, 그린수소 전환에 가스정책 걸림돌
- 인도네시아, 美 관세 피하기 위해 ‘연료 수입 확대’ 카드 꺼내
- "기후가 아닌 석유에 베팅"…2024년 은행, 화석연료에 1160조 쏟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