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인도네시아가 2060년 탄소중립(Net Zero) 목표 실현을 위해 그린수소(Green Hydrogen) 전략을 가속화하고 있지만, 정부의 가스 보조금 정책이 주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에너지 전문 싱크탱크인 IESR(Institute for Essential Services Reform)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인도네시아가 △가스 보조금 축소 △탄소가격제 도입 △수소 로드맵 강화 등을 통해 그린수소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인도네시아는 현재 7개 산업군에 대해 MMBTU당 6달러의 천연가스 보조금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2040년까지 예상되는 **그린수소 생산비용(1.90~3.90달러/kg)**과 비교할 때 경쟁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구조다.
■ 잠재력은 충분…현실은 ‘전략 부재와 초기 단계’
IESR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약 3,687GW의 재생에너지 잠재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17개 그린수소 생산 후보지를 식별해 둔 상태다. 그러나 수소 생산의 88%가 여전히 회색수소(Gray Hydrogen)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린수소는 아직 시험생산 수준에 머물고 있다.
2023년 발표된 국가 수소 전략은 그린수소를 2060 탄소중립 핵심 수단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전용 로드맵이나 세부 이행계획은 부재한 상태다. 에너지광물자원부는 오는 4월 중 수소 및 암모니아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나, IESR은 “그린수소에 특화된 구체적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전문가들 "가격경쟁력 확보하려면 전기요금 $0.05/kWh 이하로 내려야"
Fabby Tumiwa IESR 대표는 “수소 생산 비용을 낮추기 위해선 전기요금이 0.05달러/kWh 이하로 떨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알칼라인 △PEM △고체산화물전해조(SOEC) 등 고효율 전해조 기술 도입이 경제성 확보의 열쇠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SOEC 기술은 수소 1kg 생산에 약 38kWh만 소모, 현재로선 가장 높은 효율을 자랑한다.
정부는 현재 세나얀·다안 모곳·카라왕 지역에 수소충전소를 설치했으며, 국영전력사 PLN은 카모장 지역에 지열 기반의 그린수소 플랜트를 운영 중이다.
- 인도네시아, 미국산 석유·LPG 수입 100억 달러 확대 제안
- "기후자금, 이제 미국만의 게임 아냐"…인도네시아式 에너지 전환 주목
- 호주-일본 수소 동맹, 현실의 벽에 부딪히다
- “수소는 과연 효율적인가”…히트펌프·배터리와의 에너지 효율 3파전
- 네덜란드, 수소 목표 완화…"현실 가능한 녹색성장으로"
- 세계 최초 부유식 암모니아 수소 분해기 개발…'해상 수소 수입' 현실화
- 브라질 바이아, 16억 달러 들여 ‘그린 메탄올·수소 허브’ 구축
- 동남아, '그린'보다 '가스' 선택…2050년 최대 에너지원으로 부상
- 2035년까지 80배 성장하는 그린수소 시장…'알칼라인'·'PEM' 전해조 기술이 견인
- "PEM vs 알칼라인…그린수소 생산 기술 경쟁 본격화"
- OMV, 오스트리아 최대 그린수소 공장 가동…탄소중립 전환 본격화
- 인도네시아, 美 관세 피하기 위해 ‘연료 수입 확대’ 카드 꺼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