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일본 수소 수출입 흐름도
호주-일본 수소 수출입 흐름도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수소를 미래 동맹의 핵심 에너지로 규정했던 호주와 일본이 정책·시장 간 괴리와 글로벌 지정학 변화에 직면하며, ‘전략적 재정렬’에 나서고 있다. 수소 공급망의 중심축으로 작동할 것으로 기대됐던 호주-일본 파트너십이 정책 추진 속도와 상반된 민간 부문의 ‘관망 기류’ 속에서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다.

양국은 과거 석탄·철광석(196080년대), LNG(19802020년대)로 이어진 에너지 협력을 바탕으로, 2021년 ‘기술기반 탈탄소 파트너십’(Partnership on Decarbonization through Technology)을 체결하며 수소·암모니아·CCUS 협력에 박차를 가했다.

특히 일본은 2050년 2000만 톤, 호주는 1500만~3000만톤 수소 생산 목표를 내걸며, 호주는 ‘재생에너지 수소 수출국’, 일본은 ‘수소 수요국’이라는 보완적 구조를 설정했다.

■ 호주의 수소 야심…그러나 민간 투자 '멈칫'

호주는 2024년 갱신된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을 통해 AU$22.7억 규모의 ‘미래 제조 펀드’, AU$6.7억의 ‘세액 공제’, ‘Hydrogen Headstart’ 보조금 등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실제 프로젝트들의 진척도는 여전히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으며, 대표 기업인 포스큐(Fortescue), 오리진(Origin), 우드사이드(Woodside)는 잇달아 수소 사업을 축소하거나 철수했다.

주정부도 퀸즐랜드·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 수소 프로젝트 예산을 철회했고, 빅토리아주의 HESC(Hydrogen Energy Supply Chain)는 생산지를 일본으로 이전하는 등 초기 구상이 흔들리고 있다.

■ 일본의 전략적 수정…‘전력용 수소’ 대신 산업용 집중

일본은 2017년 세계 최초 수소전략 발표국으로, 2023년 ‘국가 수소전략(NHS)’을 전면 개정했다. 개정 전략에서는 수소·암모니아 혼소발전 목표를 삭제하고, 철강·항공·화학 등 ‘탈탄소 난이도 높은 산업 부문’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전환했다.

또한 2030년까지 수소 가격을 30엔/N㎥(334엔/kg), 2050년까지 20엔/N㎥(222엔/kg)으로 낮추겠다는 명확한 가격 목표를 설정했으며, ‘수소 가격차 보조금 제도(Hydrogen Price Gap Framework)’를 통해 민간 상업화 기반도 마련 중이다.

무엇보다 일본은 녹색수소에 한정하지 않고, 블루 및 저탄소 수소도 수입포트폴리오에 포함시켜 비용·확장성·공급 안정성을 우선으로 삼는 실용 전략을 택했다.

■ 공급망 현실화: 말레이시아 등 ‘포스트 호주’ 모색

일본은 최근 말레이시아의 페트로나스(Petronas), 페트로스(Petros)와의 협력을 강화하며 ‘아시아 무배출 커뮤니티(AZEC)’를 통해 다변화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는 호주의 프로젝트 불확실성과 투자 리스크를 우회하려는 움직임으로, ‘단일 공급국 모델’에 대한 전략적 보완 시도로 해석된다.

■ 결정적 변수: 2025년 양국 선거

오는 7월 일본 참의원 선거에서 자민당이 패배할 경우, 에너지 정책의 지속성이 흔들릴 수 있으며, 호주는 총선 이후 야당이 집권할 경우, 수소 세제 지원 140억 호주달러 규모가 철회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는 수소 산업의 재정 지원 기반 자체가 흔들릴 수 있음을 의미한다.

양국은 ‘수소’를 미래 협력의 축으로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더욱 실현 가능한 기술·연료 중심으로 전환할 것인지 갈림길에 서 있다. 야심찬 파트너십이 실제로 이행되기 위해선 정책 일관성, 민간 투자 회복, 공급망 현실성에 대한 공동 인식 정립이 절실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