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2] 수소운반체별 호주에서 독일로 운송 시의 경제분석](https://cdn.todayenergy.kr/news/photo/202505/283216_154173_479.jpg)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서호주가 유럽의 수소 수요를 겨냥한 세계적 수준의 재생에너지 기반 그린수소 생산 및 수출 허브로 도약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트리하이허브(TrHyHub) 연구’에 따르면, 옥커지 산업지구(Oakajee SIA) 중심의 서호주 미드웨스트(Mid West) 수소 허브는 독일·네덜란드와의 공급망 구축이 가능하며, 장기적으로 유럽 수요의 상당 부분을 충당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것으로 분석됐다.
해당 연구는 로테르담 항만청(Port of Rotterdam)과 독일 프라운호퍼 태양에너지시스템 연구소(Fraunhofer ISE)가 공동 주관했으며, 암모니아 기반 수소 운송체계가 단기 내 가장 현실적인 수출 수단으로 제시됐다.
■ 최대 1만TWh 태양광·5700TWh 풍력…연 290Mtpa 수소 생산 가능성
지리정보시스템(GIS) 분석에 따르면 옥커지 반경 350km 내 지역은 이론적으로 연간 185Mtpa의 태양광 기반 수소와 105Mtpa의 풍력 기반 수소 생산이 가능하다. 이 규모는 2050년 유럽 수요의 ‘실질적 상당 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양이다.
특히 암모니아 형태로 수출할 경우, 생산수송전달까지의 전체 비용 중 해상 운송이 차지하는 비중은 단 9%에 불과하다는 분석도 제시됐다. 연구 책임자인 프라운호퍼 ISE의 마리우스 홀스트(Marius Holst)는 “생산단가가 낮은 태양광·풍력 조건 덕분에 장거리 운송비가 상쇄된다”고 설명했다.
■ 독일·유럽 "수소 수입, 반드시 필요"…豪-獨 간 4억 유로 펀딩 협정 체결
독일은 현재 약 160만톤(Mtpa)의 수소를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하고 있으나, 90%가 화석연료 기반이다. REPowerEU 계획과 독일 수소전략에 따라, 2030년까지 약 1000만 톤의 재생수소를 수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2024년 9월 양국은 4억 유로 규모의 공동 펀딩 협정을 체결하고, 호주산 재생수소 공급망을 공식적으로 육성하기 시작했다.
로테르담 항은 북라인베스트팔렌주 및 루트비히스하펜 등 독일 주요 수요처와의 연결성이 뛰어나 수소 수입의 중심지가 될 전망이다.
- 인도수소연합, 자국 정부에 수소의무구매제 촉구
- Hy2gen, 4700만 유로 추가 조달…수소·e-연료 사업 속도낸다
- Air Products, 美 블루수소 사업 재검토…"CCS·암모니아 매각 추진"
- OMV, 오스트리아 최대 그린수소 공장 가동…탄소중립 전환 본격화
- 미국, 수소연료전지 정책 ‘제동’…EU·아시아는 "멈추지 않는다"
- 서호주, 유럽에 그린수소 공급 거점 가능성↑
- '화이트 수소' 찾기 대작전…에너지 메이저도 뛰어들었다
- 호주-일본 수소 동맹, 현실의 벽에 부딪히다
- 유니퍼, 英 험버 수소 허브에 ITM파워 선정…120MW 규모 본격화
- 인도, 2030년까지 수소 500만 톤 생산 목표…전해조 2GW 공급 시동
- Speira, 수소 기반 알루미늄 용해로 전환 성공…EU 탈탄소 선도사례로 주목
- ACWA 파워, 美 기술력과 손잡고 5억 달러 청정에너지 투자
- 네덜란드, 고온·고압 그린수소 생산 성공…수전해 실증 가속
- 2070년까지 가동 연장 승인…호주 LNG, 기후보다 공급 우선
- 호주-일본 수소 파트너십, 2050 아태 청정에너지 모델 제시
- 헤이저그룹, 일본 나고야 청정수소 생산 본격화… 연 2500톤 규모 시설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