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제시한 ‘표준화 중심 국가 전략’은 향후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주요 국가에도 적잖은 시사점을 던진다. /이미지 편집
일본이 제시한 ‘표준화 중심 국가 전략’은 향후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주요 국가에도 적잖은 시사점을 던진다. /이미지 편집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일본이 자국이 강점을 보유한 첨단기술 분야의 국제표준화 전략을 정부 주도로 본격화한다. 일본 경제산업성(METI,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수소 및 암모니아 △양자기술 △바이오 제조기술 △데이터 연계 플랫폼 등 5대 기술을 ‘표준화 전략 핵심 분야’로 지정하고, 민관 협력을 통해 국제 규격 선점에 나선다고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했다.

이는 일본 정부가 특정 기술 분야에 대해 처음으로 직접 국제표준화 전략을 수립·지원하는 사례로, 오는 6월까지 관련 국가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 "기술 개발만으론 부족…표준 주도해야 시장 장악"

국제표준은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표준회의(IEC) 등에서 제정되며, 제품 사양과 시험방법, 안전기준 등을 규정한다. QR코드나 건전지 규격(R14, R6)처럼 글로벌 호환성과 안전성을 담보하는 동시에, 향후 기술 경쟁력과 시장 지배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일본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자국 내 개발성과 중 하나로 평가하고 있으며, 세키스이화학(Sekisui Chemical)은 필름형 제품의 양산 기술을, 파나소닉홀딩스(Panasonic Holdings)는 건축용 패널 적용 기술을 각각 추진 중이다.

수소 및 암모니아 분야 역시 일본이 탈탄소화를 위한 핵심 에너지 자원으로 선제적 투자를 이어온 분야이며, 이번 전략은 그동안 민간 주도로 분산되었던 표준화 노력을 정부 차원으로 확대하는 데 의미가 있다.

■ 양자·바이오·데이터 플랫폼까지…경제안보의 축으로 '표준화' 부상

양자컴퓨터 개발은 슈퍼컴퓨터를 능가할 차세대 기술로 각국 간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분야다. 일본 정부는 이 분야에서도 기술 개발을 넘어 표준화와 인력 양성까지 패키지로 지원할 방침이다.

바이오 제조기술과 데이터 연계 플랫폼도 이번 전략에 포함돼, 제약·에너지·정보통신 등 복합 산업의 융합 확산을 염두에 둔 접근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미국·중국·EU 등은 이미 자국 기술의 국제표준화를 경제안보의 핵심 전략으로 삼고 있어, 일본도 뒤처지지 않기 위한 전면 대응에 나선 셈이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이번 5개 분야에서 확보한 전문성과 정책모델을 다른 첨단 분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