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의 이번 에너지 수입 확대 제안은 트럼프식 무역협상에 대한 현실적 대응이자, 교역 구조 재조정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이미지 편집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인도네시아 정부가 미국과의 무역균형 확보를 위한 전략적 카드로 미국산 석유 및 액화석유가스(LPG) 수입 확대를 제안했다. 수입 규모는 약 100억 달러(USD 10 billion) 수준으로 추정되며, 양국 간 교역 균형 조정을 위해 본격적인 협상 국면에 돌입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 15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Energy and Mineral Resources Ministry, ESDM)의 바릴 라하다리아(Bahlil Lahadalia) 장관은 자카르타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회의에서, “미국과의 무역흑자가 146억 달러에 달하며, 이를 완화하기 위한 해법으로 미국산 원유 및 LPG 수입 확대를 공식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 제안은 트럼프 미 대통령의 행정부가 인도네시아 제품에 보복관세(Reciprocal Tariffs)를 검토하며 무역압박을 가하는 가운데 나왔다. 이에 인도네시아는 에너지 수입을 통해 미국산 전략물자 확보에 나서는 한편, 자국 산업에 직접 피해가 가는 관세 부과를 피하고자 하는 목적도 함께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 에너지 수입 통한 ‘무역 균형 조정’…LNG 대신 LPG 선택

눈에 띄는 점은 인도네시아가 LNG가 아닌 LPG 수입을 늘리겠다고 밝힌 것이다. 이는 기존 인도네시아의 가정용·산업용 에너지 수요 구조와 맞물려, 직접 소비 연료 중심의 수입 전략으로 풀이된다. 바릴 장관은 “이 수입 확대는 단순한 무역 대응을 넘어 실질적 수급 전략”이라며 미국과의 전략적 에너지 연계 강화도 의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흐름은 에너지 교역이 외교·통상 전략의 일환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철강·알루미늄·차량 부품 등 미국의 232조 관세 대상 품목을 피해, 상대적으로 제재 가능성이 낮은 에너지 자원 분야를 선택해 수입 전략을 구성하고 있다.

■ 트럼프의 관세 보류 결정…전략적 시간 벌기 나선 양국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4월 9일부로 인도네시아 등 주요 교역국에 보복관세를 발효할 예정이었으나, 대다수 국가에 대해 발효 시점을 연기하며 협상 여지를 남긴 상태다. 이는 무역갈등 격화에 따른 정치적 부담과, 상대국의 협력 제안에 따른 전략적 유예 조치로 해석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